체계적인 고혈압 관리, ‘가정혈압’ 측정에서 시작

# 60대 전업주부 김모 씨는 최근 병원에서 혈압을 재고 놀랐다. 2기 고혈압에 해당하는 170/100mmHg 수치가 나왔기 때문이다. 김 씨는 평소 혈압이 높지 않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어떤 영문인지 병원에만 가면 혈압이 높게 측정되는 상황은 반복됐다. 의사는 김 씨에게 집에서 혈압을 매일 측정하고 혈압일지를 작성할 것을 권했다. 얼마 후 혈압일지를 가지고 다시 병원을 찾은 김 씨는 고혈압 전단계 평균 125/80mmHg로 비교적 심각하지 않은 상태로 확인됐다.

고혈압이 지속하면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을 포함, 뇌졸중신부전 등 전신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꾸준한 관리가 중요하다. 고혈압은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으로 구분한다. 이 두 수치 조합에 따라 고혈압 단계가 결정된다.

정상 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이 80mmHg 미만일 때다. 140/90mmHg 미만은 고혈압 전단계, 160/100mmHg 미만 1기 고혈압, 그 이상 2기 고혈압으로 가장 심각한 단계다.

한편 평소 정상혈압이지만 병원이나 의료기관에서 측정할 때만 혈압이 일시적으로 급격히 오르는 경우가 있다. 긴장이나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병원 방문할 때만 혈압을 측정해서는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가정혈압 측정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다.

‘가정혈압’은 자택에서 자신의 혈압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는 과정을 말한다. 병원에서 일회성 측정과 다르게 자신의 일상적인 혈압 변화를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자신의 혈압 변화를 꾸준히 관찰하면서 고혈압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의식할 수 있다. 또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의사에게 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 적절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준다.

집에서 하는 자가 측정인 만큼 정확한 혈압 측정 방법도 중요하다. 가정에서 혈압을 측정할 때는 먼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팔을 심장 높이에 위치시킨 후, 혈압계 커프를 정확히 부착해야 한다. , 같은 시간대에 측정하고 최소 2회 이상 측정해 평균값을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거에는 혈압일지를 수기로 작성하고 확인하는 과정이 번거로워 환자와 의사 모두 불편했다. 최근에는 혈압 결과를 모바일에 입력하거나 사진으로 찍으면 자동으로 기록되고, 추세를 보여주는 환자용 앱과 의료진용 웹 플랫폼이 개발되는 등 편리한 관리 방법이 등장했다.

실제 고대안암병원에서는 순환기내과와 신경과신장내과 등 혈압과 관련된 질환을 진료하는 의료진들과 환자들이 앱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환자는 앱을 통해 일지를 작성하고 외래 방문에서 담당 의사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고대안암병원 순환기내과의 주형준 교수는 가정혈압측정은 고혈압 환자뿐만 아니라 협심증, 심부전 및 신장기능이 떨어진 환자들에게 필수다. 환자는 자신의 혈압 변화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정확한 평소혈압을 파악해 적절한 의학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앱을 활용하면 플랫폼을 통해 의료진에게 다양한 분석결과가 제공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환자 맞춤형 혈압관리 및 처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