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대 신철 교수팀, 뇌소혈관질환과 인지기능 저하 관계 규명
‘뇌소혈관질환’은 뇌의 작은 혈관들이 손상되거나 막히면서 생기는 질환이다. 뇌 기능을 점차 떨어뜨린다. 주요 원인으로는 고혈압과 당뇨‧흡연‧수면무호흡증 등이 뇌소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손에 꼽힌다.
대혈관질환이 급성 뇌졸중이나 출혈을 일으키는 것과 다르게 뇌소혈관질환은 초기 증상이 미미하거나 모호하게 나타날 수 있다. 손 떨림과 걸음걸이 느려짐, 언어 장애, 한쪽 입가나 손발 마비 등의 증상이 미세하게 보인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이와 관련, 국내 연구진이 뇌소혈관질환은 집중력과 기억력 등 뇌 인지 기능 저하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주목된다.
고려의대 인간유전체연구소 신철 교수 연구팀은 2011~2022년까지 진행된 대규모 코호트 연구로 49~79세 성인 2,454명을 대상으로 뇌 자기공명영상(MRI)과 인지 능력 8년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한 연구 논문을 19일 발표했다.
연구팀 분석 결과, 연구 대상자 37%는 뇌소혈관질환이 있었다. 이들은 뇌소혈관질환이 없는 군에 비해 집중력과 기억력 저하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뇌소혈관질환이 있는 군의 인지 능력 저하가 가속화했다.
뇌소혈관질환이 방치되면 치매나 보행 장애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한다. 특히 45세 이상이거나 고혈압‧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있으면 정기적인 뇌 건강 점검과 정밀 검사를 통해 뇌소혈관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 적절한 치료와 생활 습관 개선을 하면 뇌졸중과 인지 저하, 치매 같은 심각한 상태로 진행되는 것을 늦출 수 있다.
신철 교수는 “중장년층과 노년층에서 뇌소혈관질환은 인지 기능 저하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특히 실행기능인 집중력과 기억력에서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났다”며 “수면무호흡과 동반된 고혈압이나 당뇨병 같은 기저질환이 있으면 뇌소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만큼 조기 진단과 관리가 필수”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중년기 뇌소혈관질환과 노년기 인지기능: 인구 기반 전향적 코호트 연구’(Middle-age cerebral small vessel disease and cognitive function in later life: a population-based prospective cohort study)를 제목으로 세계적 의학 저널 ‘란셋’(The Lancet) 자매지인 ‘란셋 지역 건강-서태평양’(The Lancet Regional Health-Western Pacific) 2025년 2월호에 실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