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이비인후과 이전미 교수 연구팀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이비인후과 이전미 교수 연구팀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이 청력 손실과 밀접한 연관이 있고 무호흡 지속 시간이 길수록 청력 손상이 더 심해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이비인후과 이전미 교수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이비인후과 이전미 교수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수면무호흡증 환자 90명과 정상 대조군을 비교 분석했고 그 결과 모든 주파수 대역(500Hz~8kHz)에서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청력이 나쁜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고주파 영역(2kHz 이상)에서 두드러진 손실이 관찰됐다.

혈중 산소 수치 감소로 발생하는 저산소증이 달팽이관의 혈류 장애를 유발하며, 이는 청각 세포와 신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반복적인 저산소 상태와 산소 재공급 과정에서 산화 스트레스 및 염증 반응 증가 역시 신경 기능 저하와 관련된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또한 코골이로 인한 소음 자체도 청력을 지속적으로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전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단순히 무호흡증 환자의 청력이 나쁘다는 사실을 넘어, 무호흡 지속 시간이 긴 경우 더욱 심각한 손상이 발생한다는 점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청력 보호를 위해서는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 양압기(CPAP) 치료는 기도 개방을 돕고 산소 부족을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청력 손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체중 감량, 금연, 절주 등의 생활 습관 개선과 함께 옆으로 자는 자세 유지가 도움이 될 수 있다.

필요시 구강 내 장치나 수술적 치료도 고려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전미 교수는 “수면무호흡증 치료는 단순히 숙면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청력을 보호하는 중요한 단계”라며 조기 진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PLOS ONE’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