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진피 방식보다 치유 빠르고 흉터 수축 적어

피부암은 세계적으로 발병이 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앙암등록본부 통계 자료를 보면, 2022년 기준 신규 피부암 환자는 8,135건으로 전체 암 발생에 2.9%를 차지했다. 피부암은 다빈도 악성 종양으로 주로 자외선 노출과 관련이 깊어 노출이 많은 얼굴 부위에 자주 발생한다. 특히 고령층에게 많이 나타난다.

피부암은 다른 암과 달리 전이되는 경우가 드물고, 외과적 절제술만으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아 절제한 부위의 재건이 필요하다. 피부암 절제 부위 재건은 국소피판술이나 자가피부 이식 등을 이용한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복잡한 수술 과정으로 고령 환자들에게 수술 부담이 크다.

고대구로병원 한승규 교수
고대구로병원 한승규 교수

국소피판술은 흉터나 얼굴 구조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어 추가 수술이 필요하고, 자가피부 이식은 얼굴 흉터 외에도 피부 채취 부위 흉터와 통증이 불가피하다. 최근 이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인공진피를 사용한다. 하지만, 흉터 수축을 막기 어려워 얼굴 등 노출 부위에 발행하는 피부암 특성상 미용 부분에서도 한계가 있었다.

이와 관련, 국내 대학병원 연구진이 나노지방을 활용한 피부암 재건 신기술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고대구로병원 성형외과 한승규 교수 연구팀은 재생 속도가 빠르면서도 흉터 수축이 적고, 얼굴변형을 최소화한 피부암 재생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발표했다.

환자 지방조직 세포를 활용한 조직공학적 진피를 이식해 피부암 제거 부위를 재생시키는 연구팀의 이번 신기술을 사용하면, 기존 인공진피를 활용한 방법보다 흉터 수축은 30% 적었고, 치유 속도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고대구로병원 성형외과 한승규 교수 연구팀은 기존 치료법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나노지방(미세지방)을 사용해 피부암 제거 부위를 흉터 수축이나 변형을 최소화 재건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국소마취 후 환자 복부에서 약 7∼10㎖ 정도 지방조직을 채취하고, 미세분쇄기구를 사용해 나노지방으로 잘게 분쇄한 후 인공진피와 혼합해 ‘나노지방 조직공학적 진피’를 만들어 결손 부위에 이식한다. 나노지방에는 줄기세포 등 세포성분과 콜라젠‧성장인자 등을 포함하고 있어 상처 재생을 촉진시키고 흉터를 최소화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지방 조직공학적 진피의 효과를 기존 인공진피와 비교 분석한 결과, 나노지방 조직공학적 진피 이식그룹은 기존 인공진피 이식그룹보다 상처 치유 속도가 4일 빨랐고, 흉터 발생도 적었다. 특히 흉터가 30% 정도 덜 수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인공 진피를 이식한 경우 얼굴구조 변형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조직공학적 진피를 이식한 환자들은 이러한 변형이 훨씬 적어 얼굴 윤곽을 자연스럽게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도 확인됐다.

고대구로병원 성형외과 한승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나노지방을 활용한 조직공학적 진피 사용이 흉터와 얼굴변형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재생을 촉진시키는 세포치료 활용에 있어서 세포배양 등 복잡한 절차 없이 20분만에 시술이 가능한 만큼 임상적용이 용이해 피부암 후 재건술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나노지방을 활용한 조직공학적 진피가 다른 피부 손상 치료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의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피부암 절제 후 안면재건 시 미세지방을 포함한 조직공학적 진피와 인공진피의 비교’(Comparison of Tissue-Engineered Dermis with Micronized Adipose Tissue and Artificial Dermis for Facial Reconstruction Following Skin Cancer Resection)를 제목으로 생체공학 및 재생의학분야 국제학술지 ‘바이오엔지니어링’(Bioengineering) 최신 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