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주도 전국 9개 병원도 공동 참여
故이건희 회장 소아희귀질환 기부금 3000억 활용

서울대병원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은 소아청소년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의 치료 반응과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미세 잔존 암 분석 검사를 환자들에게 무상 지원한다고 25일 밝혔다.

급성림프모구백혈병은 연간 200~300명 발생하는 소아청소년에서 많은 악성 질환이다. 최근 정밀 치료 반응 예측 검사법을 통해 치료율이 높아져 약 80% 이상의 환자가 완치되고 있다.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이용한 미세 잔존 암 분석 검사는 백만 개의 세포 가운데 하나의 암세포까지 발견할 수 있는 예민한 검사법이다. 이를 이용하면 환자 치료 반응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이 검사는 국내에서 아직 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1회 약 100만 원의 고비용이 소요된다. 보통 한 환자가 4~8회 이상 검사를 본인 부담으로 받고 있다.

이번 지원 사업은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유족이 국내 소아암과 희귀 질환 극복을 위해 전달한 기부금을 사용하는 것으로 검사비는 최대 8회까지 무상지원 된다. 현재까지 12명의 환자가 검사비 지원을 받았다. 향후 지원 대상 환자는 매주 3~4명으로 예상된다.

또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성모병원서울아산병원세브란스병원양산부산대병원영남대병원제주대병원충남대병원화순전남대병원 등 국내 9개 주요 병원에서도 공동 참여해 소아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들에게 혜택을 제공한다.

서울대병원 홍경택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의미 있는 기부금으로 전국 소아청소년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아들에게 중요 검사를 무상으로 지원할 수 있어 기쁘다전국적으로 본 사업을 확장해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환자들에게 다양한 의료 혜택을 제공하고, 전국 어린이 의료기관이 협력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