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의료원 공동 연구팀…미용효과에 더해 부갑상선 보존에도 유리
초기 ‘갑상선암 로봇수술’은 종양 크기가 작고 주위 림프절 전이가 없는 갑상선 미세 유두암에서 활용됐다. 그러다 로봇수술은 2㎝ 이상 크기나 주위 피막 전이가 있거나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도 적용 범위가 확대됐다.
‘바바 로봇수술’의 바바(BABA)는 ‘Bilateral Axillo-Breast Approach’의 약자로 양쪽 겨드랑이와 유륜에 1㎝ 정도 구멍 4개를 만들어 로봇 팔과 카메라를 몸속으로 넣어 암 세포를 제거하는 수술법이다.
갑상선암 로봇수술은 다른 수술과 달리 눈에 보이는 큰 절개가 없이 정밀한 수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절개수술보다도 안전하고 세밀한 수술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부족하다.
이와 관련, 갑상선암 로봇수술이 절개수술보다 갑상선 수술 중 부갑상선 보존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이대서울병원 유방센터 백세현 외과 교수와 갑상선센터 강경호 외과 교수, 이대여성암병원 갑상선암센터 권형주 외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13~2014년까지 절개수술과 로봇수술로 갑상선암 제거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갑상선 환자 연령과 성별‧몸무게‧종양 크기와 합병증 비율을 접목해 수술 결과를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이라는 통계분석 방법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로봇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은 갑상선암 수술 합병증인 ‘일시적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빈도가 줄었다. 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부족하지만 ‘일시적 성대마비’ 발생도 감소했다.
이에 비해 수술 후 출혈‧상처‧감염 등 합병증 발생률은 외과 수술과 로봇수술 모두 유사했다.수술 완벽성을 보여주는 지표인 획득된 림프절의 개수와 ‘serum-stimulated Tg 값’도 차이는 없었다. 다만 로봇수술이 수술을 위한 준비 절차로 수술 시간이 더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대서울병원 백세현 유방센터장은 “갑상선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주된 합병증인 부갑상선기능저하와 성대마비는 일시적으로 발생해도 환자에게 많은 불편감을 줄 수 있고, 로봇수술에서 발생률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번 결과를 보면, 갑상선 암에서 로봇수술이 미용적 효과 뿐 아니라 더 안전하고 효과적 수술법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의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외과학 분야 세계 권위 SCI학술지인 <SLEPT(Surgical Laparoscopy Endoscopy & Percutaneous Techniques)> 최신호에 실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