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 암교육센터, 암환자 맞춤 직장복귀 프로그램 'START' 효과 입증

암 환자의 성공적인 사회 복귀를 위해서 암 진단 때부터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암환자 10명 중 3명만이 기존 일터로 되돌아간다는 보고에 미뤄 보면,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제도적 변화를 더이상 미룰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밝힌 연구다.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조주희·강단비 교수, 삼성융합의과학원 배가령 박사 연구팀은 암환자 사회 복귀 프로그램안 ‘스타트(START)’ 참여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스타트는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가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암환자의 직장 복귀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는 동영상과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대면·비대면 상담을 통해 환자의 복귀 계획을 지원한다.

연구팀이 삼성서울병원과 아주대병원에서 다기관 무작위 대조연구로 스타트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스타트 참여 그룹과 비참여 그룹 사이 차이는 확연했다.

참여 그룹은 대면 교육 종료 후 약 1 개월 시점에 직장 복귀 비율이 65.4%였던 반면, 비참여 그룹은 치료 종료 후 2개월이 지나서도 55.9%의 복귀율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암환자의 직장 복귀에 대한 환자 본인의 오해를 허물면서 얻은 자신감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암환자의 직장 복귀 관련 정보를 묻는 평가에서 스타트 참여 그룹은 10점 만점에서 평균 7.4점을 획득했지만, 비참여 그룹은 6.8점을 기록했다.

또한 참여 그룹의 경우 암 치료 중 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답한 비율이 21.2%에 불과한 반면 비참여 그룹은 37.6%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앞서 발표한 논문에서 일을 관둔 환자의 절반 가량이 진단받은 직후 혹은 치료 시작 전 일찌감치 일을 포기했고 대개 암에 대한 오해나 편견에서 비롯된 만큼 스타트 프로그램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고 전했다.

조주희 교수는 “모든 암환자가 무조건 일을 관둬야 하거나 치료를 마치면 기존에 하던 일을 계속하기 어려운 것도 아니다”라며 “암 치료 후 신체 상황과 업무 요구도에 적합한 자기 평가와 준비를 통해 암환자도 직장을 유지하거나 일터로 돌아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암학회 국제 학술지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