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발견‧치료 못하면 예후 안 좋고 재발률도 높아져

자궁내막암은 자궁내막에 생기는 대표 여성암이다. 자궁내막암은 서구화된 식습관과 비만, 고령 사회가 진행되면서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중앙암등록본부 암 등록통계에 따르면, 자궁내막암 조발생률은 1999년 여성 10만 명당 3.1명에서 2019년에는 12.8명으로 20년 사이 4배 가량 빠르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자궁내막암은 여성에게 많이 발병하는 10대 암 가운데 7위를 차지하고 있다.

자궁내막암의 80% 정도는 자궁체부에 국한된 초기에 진단된다. 초기 자궁내막암의 5년 생존율은 90% 이상으로 비교적 예후가 좋은 암종이다. 이에 비해 15~20%를 차지하는 진행성 암은 항암치료에 대한 반응이 떨어져 5년 생존율이 30% 미만으로 저조하다. , 진행성 자궁내막암의 재발률은 병기에 따라 20~50% 이상으로 높다.

수술로 완치될 수 있는 조기 진단이 자궁내막암 치료에서 중요한 이유다. 생리 과다와 부정 출혈, 폐경 후 출혈 등 이상 질 출혈이 있으면 진단 검사가 적절한 시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증상을 넘기지 말고 산부인과 진료를 받아야 한다.

자궁내막암의 병기는 1~4기로 나눈다. 병기는 병기설정수술을 통해 확정한다. 수술이 어려운 경우 CTMRIPET-CT 등 영상검사로 병기를 결정한다. 자궁체부에 국한된 경우 1, 자궁경부를 침범하면 2, 림프절이나 자궁 주위 조직으로 침범하면 3, 타 장기로 전이가 있으면 4기로 진단한다.

자궁내막암 1~2기는 병기설정수술 이후 복강경 또는 로봇수술로 한다. 자궁이 큰 경우는 적출한 조직을 꺼낼 때 암 조직이 흘러나올 위험성이 있어 개복수술로 한다.

자궁내막암 3기는 병기설정수술을 우선 하고, 이후 재발률을 낮추기 위해 방사선치료와 항암치료, 또는 방사선치료와 항암치료를 병행하는 치료를 한다. 4기는 증상 완화를 위한 항암치료와 출혈이 심하면 방사선치료 또는 자궁 절제술을 한다.

자궁내막암 수술 이후 관리도 중요하다. 규칙적 운동과 적정한 체중 유지가 생존율에 영향을 준다. 일주일에 세 번 이상 땀이 날 정도 중강도 운동을 30분 이상 규칙적으로 하고, 살이 과도하게 찌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대여성암병원 산부인과 김미경 교수는 여성암 가운데 가장 가파르게 중가하고 있는 여성암이 바로 자궁내막암이라며 다른 암도 마찬가지지만 자궁내막암 또한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매년 24일은 암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암 환자를 돕기 위해 2005년 국제암예방연합이 제정한 세계 암의 날이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