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일산병원 김동억 교수팀, 6464명 분석…남녀 발병 위치 차이 밝혀
여성의 뇌경색 예후가 더 나쁜 이유에 대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동국대학교일산병원 신경과 김동억 교수와 정진용 박사, JLK 상무이사 류위선 박사연구팀은 전국 11개 대학병원 신경과와 협력 연구를 통해 급성 뇌경색으로 입원한 6464명의 MRI영상 및 임상데이터를 분석하고 예후를 추적 관찰한 결과 뇌혈관 협착 부위와 뇌경색이 생기는 위치의 남녀 차이로 인해 뇌경색의 예후가 여성에서 더 나쁜 것이라고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뇌경색의 증상이 좀 더 심하고, 3주이내 악화될 가능성이 3.5% 더 높았으며, 3개월째 독립적 생활을 못할 가능성이 4.5% 더 높았다.
이러한 남녀 차이는 특히 50대 이상에서 더 두드러졌으며, 여성 환자에서 중대뇌동맥 협착의 빈도와 운동 신경을 침범하는 뇌경색의 빈도가 각각 약 5% 정도 더 흔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김동억 교수는 “여성 뇌경색 환자의 증상이 더 심하고 예후가 더 나쁘다는 점을 증명했을 뿐 아니라, 그 이유가 주로 뇌혈관 협착 부위와 뇌경색이 생기는 위치의 남녀 차이 때문임을 밝힌 연구이다. 다른 생물학적 기전이나 노령 여성 환자에서 뇌경색 진료가 덜 적극적일 가능성 등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 고양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참조표준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신경과학회 학술지 ‘Neurology (IF: 12.26)’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임웅 기자
wlim@docdocdoc.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