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중풍으로 불리는 ‘경추척수증’, 척수신경이 눌려 발생…보행 장애도
‘경추척수증’은 목에 있는 척수(중추) 신경이 눌려 전신감각 이상과 운동신경‧반사 이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경추척수증은 ‘목중풍’으로도 불린다. 경추척수증이 뇌졸중이나 뇌출혈로 부작용으로 생기는 중풍과 증상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경추척수증의 대표 증상은 손‧발 감각 이상으로 젓가락질과 글씨쓰기, 단추 채우기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 걸을 때 균형을 못 잡아 자주 비틀거리거나 넘어지기도 한다. 횟수가 잦다면 반드시 경추척수증을 의심해야 한다.
증상은 진행 단계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만큼 다른 신경질환과 구별이 쉽지 않다. 발병 초기에는 팔저림과 목‧어깨 통증이 생겨 단순 목디스크로 오인하기도 한다. 더 심해지면 팔 감각‧운동 저하, 마비감으로 중풍으로 오해할 수 있다. 손‧발에 마비감이 생기면 뇌 질환을 의심해 신경과나 신경외과 등을 찾는 등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다.
경추척수증을 일으키는 발병 원인에는 경추 추간판 탈출증, ‘목디스크’와 인대가 뼈로 바뀌는 후종인대골화증, 퇴행으로 뼈가 자라는 골극, 드물게는 척수의 종양 등이 손에 꼽힌다.
한편 경추척수증은 신경이 압박되는 목 아랫 부분에만 증상을 보인다. 이에 비해 뇌경색과 파킨슨병, 루게릭병 등 뇌와 연관된 신경질환은 목 윗부분 뇌신경 증상이 동반돼 나타난다는 차이점이 있다.
경추척수증 진단은 자기공명영상(MRI) 등 정밀 검사와 전문의의 면밀한 진찰을 통해 내려진다. 특히 약물‧주사치료 등 보존적 치료만으로 경추 척수신경의 압박이 해결되지 않는 만큼 가능한 조기 수술이 최선의 치료방법이다.
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강경중 교수는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이 증상만으로 질환 여부를 구별하기는 어려운 만큼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을 찾아 필요한 검사를 진행하고, 정확하게 진단 받아야 한다”며 “특히 전신 저림과 감각 이상 증상, 갑작스러운 대소변 기능 이상이 나타나면 더 심각한 상태인 만큼 빨리 치료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 앞꿈치와 뒤꿈치를 이어 붙이면서 일직선으로 걷는다. 보통 열 걸음을 정상적으로 걷지 못하면 보행장애로 판단한다.
• 주먹을 최대한 빨리 쥐었다 폈다를 반복한다. 양손을 10초에 20회 이상 할 수 없고, 손가락을 펴는 속도가 점점 느려지거나 아예 펴지 못하고 손가락이 벌어진다면, 의심해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