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국민 가공식품 통한 당류 섭취량 분석
女청소년 절반, 가공식품 통한 당류 과다 섭취
식품 영양정보 확인 시 당류 6.5g 적게 섭취해
국내 어린이·청소년 3명 중 1명 이상이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당류 섭취 권고기준을 초과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관심이 집중된다. WHO 권고기준은 1일 총열량의 10% 미만이다. 1일 2,000kcal 섭취 기준으로 당류 50g 즉 3g 무게 각설탕 16~17개 수준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우리 국민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9일 발표했다.
특히 어린이‧청소년 중 여학생은 WHO 권고기준을 초과해 당류를 섭취하는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WHO 권고기준 초과 당류 섭취 비율은 6~11세 남아는 36.4%였지만 여아 44.2%였고, 12~18세의 남학생은 30.3%였지만 여학생은 51.6%에 달했다.
식약처는 여자 어린이·청소년의 경우 각각 총열량의 10.4%, 11.2%를 가공식품으로부터 당류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성장기 어린이와 여학생들이 과자류·빵류 등을 많이 섭취하고, 같은 연령층의 남자에 비해 음료류, 캔디류 등을 자주 섭취하는 것의 영향으로 파악됐다.
다만 2021년 우리 국민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34.6g)은 하루 총열량(1,837 kcal)의 7.5%로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10%)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2019년 36.8g 대비 약 6%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감소한 이유는 당이 든 탄산음료를 탄산수로 대체하고 믹스커피 대신 블랙커피 등의 섭취량이 증가해 음료류로부터 당류 섭취가 감소한 것이 주원인으로 분석됐다.
실제 음료류를 통한 하루 당류 섭취량은 2019년 12.5g에서 2021년 10.7g으로 줄어든 반면 탄산수 섭취량은 동기간 3.0g에서 7.8g으로 늘었다. 또한 하루 믹스커피 섭취량은 같은 기간 13.8g에서 12.6g으로 줄었지만, 하루 블랙커피 섭취량은 82.4g에서 88.5g으로 늘었다.
식약처는 "식품 포장의 영양성분 함량 표시를 확인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당류를 6.5g(각설탕 2개 분량)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식품을 구매할 때 영양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소비자가 식품 구매 시 당류 함량 등의 표시를 확인하고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영양표시에 대한 교육·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등을 지속 제공해 일상생활에서 균형 잡힌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촌각 다투는 초응급상황 ‘뇌출혈’…골든타임 내 빠른 대처가 관건
- [헬스로그 명의] 급증하는 자궁체부암에 면역항암제 효과 높은 이유
- 코로나 팬데믹 후 홈술·혼술·술방 늘고 ’고위험 음주’ 증가
- 나의 탈모 가능성은?…유전자 검사 보다 간편해져
-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13개 적응증에 급여 확대되나?
- [나의 투병 스토리] 암이 두렵지 않은 인생 제2막
- [박종훈의 골육(骨肉)종 이야기] 왜 그렇게 겁을 주는지…
- 국산 항체신약물질, 췌장암 작용 매커니즘 규명
- 서울대병원 양한광 교수, 국제위암학회 사무총장 취임
- 초강력 당뇨병 신약 '마운자로', 국내 상륙…28일 국내 허가
- 지난해 국내 신규 HIV 감염자, 1,000명 돌파…성 접촉 99% 차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