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간 만에 악화…뇌에도 심각한 손상
증상 호전 후에도 지속적 치료와 관리 필요

심부전은 몸에 혈액을 공급하는 심장이 기능을 못하는 상황이다. ‘급성심부전은 수 시간 또는 수 일 내 갑자기 발생하거나 급격히 악화된 심부전이다. 생명과 직결하고,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긴급 질환이다. 심장질환의 마지막 단계다.

급성심부전은 심장 기능이 급하게 약해져 몸에 혈액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상태다. 심장의 펌프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심근경색으로 심장근육에 손상이 있거나, 판막 이상, 심근병증 등 심장의 구조적인 문제가 원인일 수 있다. 여기에 부정맥과 고혈압성 심장질환, 급성폐색전증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사진 제공 : 고대안암병원
사진 제공 : 고대안암병원

급성심부전이 발생하면 호흡곤란과 가슴통증, 기침 증상이 나타난다. 또 피로감이나 근력감소를 호소할 수 있다. 다리(하지)에 부종이 발생하거나 식욕과 소화기능이 떨어지는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 누울 때 호흡곤란이 악화하거나 하지 부종이 왼발오른발에 모두 생기면 심부전 가능성이 높다.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 가벼운 질환으로 오인해 증상을 무시하거나 진료를 늦추면 악화할 수 있는 만큼 즉각적이고 정확한 판단이 필요하다.

급성심부전은 심장의 주요기능인 혈액 공급을 적절히 할 수 없어 심장뿐만 아니라 전신에 걸쳐 영향을 준다. 신장에 영향을 주어 신부전 증상이 나타난다. 간 기능 저하와 간 손상 위험이 있다. 뇌와 폐에도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타 장기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증상 호전 이후에도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급성심부전은 원인과 증상 정도에 따라 약물치료를 우선 한다. 산소공급이 필요하면 산소투여를 통해 생명을 유지한다. 구조 문제면 중재시술 또는 수술 치료를 통해 심장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심부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습관을 비롯해 생활습관을 건강하게 유지해야 한다. 금연과 절주도 필요하다.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섭취한다. 매일 30분 이상 자신의 체력에 맞는 운동을 하고, 스트레스를 줄여야 한다.

고대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조동혁 교수는 급성심부전은 심장 건강과 생명에 직결된 긴급 질환으로 의심 증상을 보이면 병원 응급실을 즉시 찾아야 한다원인질환과 증상에 따라 환자의 치료법이 다르게 적용되는 만큼 최상의 치료법을 찾기 위해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철저한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