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압 수두증’, 알츠하이머와 증상 유사…뇌척수액 불균형 잡아야

#김 씨는 올해 연세가 79세인 어머니가 요즘 아파트 비밀번호를 깜빡 잊어버리는 등 기억력이 떨어지신 것 같아 걱정이다. 김 씨는 어머니가 걸음걸이도 부자연스럽게 느려지신 것을 보고 치매가 걱정돼 모시고 병원을 찾았다. 병원 검사 결과, 치매가 아닌 이름도 생소한 정상압 수두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치료가 가능하다는 말에 안도했다.

'정상압 수두증은 뇌 안에 액체로 차 있는 뇌척수액 불균형으로 정상보다 많은 양의 물이 차면서 생긴다. 치매와 유사한 이상 증상을 보이는 질환으로 70세 이상 노인 100명 가운데 2명 꼴로 발생한다.

알츠하이머 치매와 증상이 유사해 오인하기도 한다. ‘정상압 수두증의 대표 증상은 걸음걸이가 부자연스러워져 발을 넓게 벌리고, 작은 보폭으로 발을 질질 끌며 넘어지는 일이 잦고 균형 잡기가 힘들어진다. 소변을 참지 못해 화장실에 가기도 전 요실금으로 실수하기도 하고, 인지기능 저하와 무기력증이 같은 치매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현대의학으로 아직까지 치료가 어려운 치매와 달리 정상압 수두증은 얼마든지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다. 한편 정상압 수두증은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같은 치매로 오인해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65세 이상에 걸음이 느려지고, 기억력이 떨어지거나 배뇨장애가 있으면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진단은 뇌CT‧뇌MRI 검사를 통해 뇌척수액이 있는 뇌실이 커진 것을 확인한다. 요추 사이에 주사 바늘을 꽂아 30~50cc 정도 뇌척수액을 허리에서 뽑고 걸음걸이와 요실금, 인지기능 저하와 같은 증상이 개선됐는지 확인을 통해 진단한다.

이와 관련, 중앙대병원 박용숙이신헌 신경외과 교수팀은 경북의대 박기수 교수와 협업으로 지난 8월부터 정상압 수두증환자에 대해 기존 뇌실-복강 단락술과 함께 요추-복강 단락술로 치료 효과를 보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정상압 수두증치료는 전신마취로 두개골에 구멍을 내 과다한 뇌척수액이 나갈 수 있는 우회로를 션트 튜브’(플라스틱 관)를 이용해 뇌실에서 복강으로 빼는 뇌실-복강 단락술을 시행한다.

이에 비해 요추-복강 단락술은 두개골에 구멍을 내지 않고 허리에서부터 복강 내로 우회로를 연결하는 수술법이다. 머리에 구멍을 내는 두개골 천공술을 시행하지 않아 국소마취로도 가능하다. 고령환자 등 전신마취 고위험군 환자에게 적합한 수술이 가능한 것이다.

중앙대병원 신경외과 박용숙 교수는 정상압 수두증은 치료가 가능한 질환인 만클 방치하지 말고 조기에 증상을 면밀하게 관찰해 적극적인 검사로 선별해야 한다중앙대병원에서는 뇌실-복강 단락술요추-복강 단락술을 병행해 각각의 수술의 장점을 살려 정상압 수두증에 대해 환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 ‘정상압 수두증의심 체크 리스트

다리에 기운이 빠지는 것을 느끼고, 걸어 다니면 쉽게 피로해진다.

걷는 속도가 느려지고, 보폭이 짧다.

발바닥을 바닥에서 떼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몸의 중심을 잡지 못해 앞으로 자꾸 넘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손이 떨리거나 섬세한 손 운동을 하지 못하고, 글씨를 잘 쓰지 못한다.

소변을 잘 가리지 못하는 요실금이 생겼다.

집중력과 기억력이 많이 떨어졌다.

복잡한 행동을 잘하지 못하는 수행 장애를 보인다.

말수가 적고 무관심한 모습을 보여 우울증과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