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경희대병원 황유철 교수팀, 비만 유형별 10년 유병률 변화연구
한국인의 비만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0~30대 젊은 남성은 비만과 대사질환에 더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이번 연구는 국내 처음으로 한국인 비만 유형별 10년유병률 변화를 확인한 연구로 평가된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황유철 교수 연구팀은 2007~2017년까지 10년 동안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근거로 비만 유형에 따른 유병률 변화를 평가하는 대규모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특히 20세 이상 한국인 성인 전수를 대상 성별‧연령군에 따라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과 ‘건강하지 못한 비만’의 유병률 추이를 분석했다.
비만 유병률 증가…20~30 연령대 남성 ‘건강하지 못한 비만’ 늘어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MHO,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은 체질량지수가 25.0kg/m2 이상이면서 대사증후군 지표가 없거나 한가지를 경우다. 이에 비해 ‘건강하지 못한 비만’(MUO,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은 체질량지수가 25.0 kg/m2 이상이면서 대사증후군 지표가 두 가지 이상 가진 경우로 정의했다.
연구팀 분석 결과, 한국인의 전체적인 비만 유병률은 2007년 32.1%에서 2017년 34.4%로 증가했다. 한편 남녀 모두 비만이 늘어난 것은 아니었다. 남성에서는 전체적인 비만 유병률이 증가했고,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비만’이 늘었다.
같은 기간 여성에서는 비만 유병률에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남녀 차이는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20~39세 젊은 연령대에서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
같은 비만이라도, 대사지표 나쁘면 더 관리해야
비만은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인자다. 비만인은 비만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제2형 당뇨병과 고혈압‧이상지혈증 발생 위험이 2배 이상 증가한다. 관상동맥 질환과 같은 심혈관 질환이나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커진다. 여기에 지방간과 통풍‧수면무호흡증, 하지정맥류, 담석증‧골관절염, 역류성식도염 등 다양한 질병을 불러올 수 있다.
비만이 국민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대부분 알고 있다. 하지만 비만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지, 건강하지 않은 비만인지 나눌 수 있고 그에 따른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황유철 교수는 “20~39세 젊은 남자에서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비만이 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향후 젊은 남성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검사와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며 “건강한 비만도 정상 체중 사람보다 좋지 않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 만큼 젊은 남성도 운동과 식사 조절을 통한 체중 감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