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뇌종양 치료…완치보다 종양세포 억제 유지가 관건
“걸리면 다 죽는다.”
“머리를 여는 개두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수술 후 엄청난 후유증이 남는다.”
‘뇌종양’ 진단을 받으면 꼬리표처럼 따라붙는 오해와 소문들이다. 뇌종양은 정말 소문 만큼 무서운 질병일까. 뇌종양은 뇌 안에 생긴 모든 종양을 말한다. 두피를 포함해 두개골‧뇌실질‧뇌경막 등에 생기는 종양의 총칭인 것이다.
뇌종양도 다른 종양과 마찬가지로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으로 크게 구분한다. 최근 환자의 유전자적 정보와 세포 타입, 약물에 대한 반응도 등에 따라 더 세분화하고 있다.
악성 뇌종양은 고령에서 많이 생긴다. 다른 부위에서 전이된 종양인 ‘전이성 종양’과 뇌 자체 세포에서 발생한 종양인 ‘원발성 종양’이 있다. 전이성 뇌종양은 폐암과 유방암‧전립선암 등에서 주로 전이한다.
뇌종양 치료…머리 여는 수술이 다 아냐
악성 뇌종양 환자들은 유전 질환인지를 궁금해 한다. 악성 뇌종양은 유전 질환이 환자 개인에게 국한된 특발성 질환인 경우가 대다수다.
가족력으로 생긴 뇌종양의 경우 해당 환자는 뇌종양뿐 아니라 모든 종양에 취약하다. 세포 분열을 멈추게 하는 유전자에 변이가 있거나 세포 분열이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되는 변이가 있는 것이다.
뇌종양은 수술 치료 뿐만 비수술 치료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수술 치료는 머리를 여는 개두술이 대표적이다. 또는 뇌하수체 종양은 코를 열고 종양을 제거하는 경비적 방법도 있다. 이때 수술에는 현미경이나 내시경이 사용된다.
수술이 다가 아니다. 감마나이프나 사이버나이프, 또는 방사선 에너지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도 선택지가 된다. 전신에 적용하는 항암치료를 하기도 한다. 신경외과 전문의는 환자 특성에 따라 이 세 가지 방법을 적절히 혼합해 사용한다.
종양 치료에서 재활은 매우 중요하다. 손상된 신경에 재활이라는 자극이 주어지면서 신경 네트워킹이 이루어진다. 특히 수술 후 3개월 동안 재활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악성 종양이라도 조기 발견‧치료하면 “치료 가능”
최근 뇌종양 치료는 ‘완치’가 아닌 ‘관해’라는 표현을 쓴다. 치료를 종료해 종양 세포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는 의미의 ‘완치’가 현실적으로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이때 관해는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는 개념보다 종양세포 억제가 잘 유지‧조절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몇 년간 관해였다’고 표현한다.
뇌종양이 양성이고, 수술이 완벽하게 이루어진다면 관해 단계까지 치료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수술을 해도 종양이 남아있고, 세포 악성도가 높거나 악성 종양이면 관해까지 치료될 수 있는 가능성이 낮아진다.
한편 악성 종양도 조기에 발견했다면 빠른 치료를 통해 관해율을 높일 수 있다. 정기 건강검진을 받고, 의심되는 병변에 대해서는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추적 관찰해야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뇌종양은 대부분 초기 증상이 없다. 이미 증상이 있어 병원을 찾으면 종양의 완전한 제거가 쉽지 않아 재발 가능성이 커지고, 이로 인한 예후가 나빠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대서울병원 뇌종양센터 박수정(신경외과) 교수는 “뇌종양과 관련된 무서운 소문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병원은 영상검사‧피검사 등을 통해 정확히 진단하고 최첨단 수술‧치료로 환자의 신경학적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환자들이 떠돌아다니는 낭설들을 믿지 말고, 전문의의 도움을 통해 적극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