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시맨틱스, 피부암 영상검출·진단보조 SW 확증 임상 완료
국내 첫 피부암 진단 인공지능(AI) 솔루션 기기의 상업화가 목전으로 다가왔다.
라이프시맨틱스는 피부암 영상검출·진단보조 소프트웨어의 확증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NIPA(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닥터앤서2.0 사업을 통해 개발한 피부암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의료기기의 임상적 우월성 입증을 목적으로 다기관, 후향적 연구로 진행됐다.
경북대병원, 계명대동산병원, 영남대병원이 협력했으며, 각 병원에서 수집된 피부암 의심환자의 피부종양 이미지 6,500건을 학습한 알고리즘의 확증 임상시험에서 199례의 분석을 거쳤다.
라이프시맨틱스는 임상을 통해 악성종양 및 양성종양을 감별하는 민감도와 특이도, 정확도 등 모든 지표가 최소 임상적 성능기준을 넘는 결과를 확인했으며, 80.9%의 진단 정확도를 보였다고 강조했다.
라이프시맨틱스는 피부암 진단 SW로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악성흑색종 등에 관한 데이터를 학습해 피부암의 조기 발견 및 예방을 도울 것으로 기대했다. 또 고가의 장비 없이 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1차 의료기관의 부담이 적어 의료AI 도입 확대와 환자 순응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라이프시맨틱스 허은영 R&D센터장은 "국내에서는 임상시험을 통해 피부암 AI의 성능을 입증한 첫번째 사례"라며 "해외에서 진행했던 임상시험 결과 대비해서 준수한 결과임을 확인한 만큼 국내 피부암 환자의 치료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2월 15일 ‘담도암의 날'…췌장암만큼 생존율 낮은 담도암, 치료전략 변화
- 최근 10년간 2배 이상 증가한 '틱장애'…신규 틱장애 환자 42% '성인'
- 한국인 성인 비만율, 이젠 40% 육박…남성은 절반이 비만
- 政 "개별행동도 단체행동 간주"…醫 "어차피 단체행동" 강경대응론 부각
- 무과실 의료사고 국가보상 ‘소아의료’ 확대, 의학적 입증 난항
-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시장은 '춘추전국시대'…경쟁 치열
- [박종훈의 골육(骨肉)종 이야기] 늘 가슴 졸이는 의사
- “장(腸)을 보면 다 안다”…장건강, 면역력‧정신건강에 중요
- 수술 전 ‘섬망’ 있으면 수술 후 섬망 환자보다 생존율 낮아
- 뇌졸중치료체계 흔들흔들…뇌졸중학회, "빅5병원조차 의료진 채용난"
- 고콜레스테롤혈증 있는 임신부에 쓸 수 있는 치료제가 없다
- A형 혈우병 치료제 '엘록테이트', 사용기간 36→48개월로 변경
- 비소세포폐암, 세포 돌연변이 따라 치료 효과 달라
- 손아귀 힘 '악력' 약할수록 당뇨병 발생 위험 높다!…"근감소증 예방을"
- 의대 정원 증원 논란 속 사직하는 인턴들…단체행동 안 되면 '개별행동'
- 국내 항암제 시장점유율 1위, 보령…"필수항암제 안정적 공급에 집중"
- 진행성 폐암에 '타그리소', 먼저 쓸까 나중에 쓸까?…선행항암, 이점있다!
- [칼럼] 2월 4일은 '세계 암의 날'…빠르게 늘고 있는 '부인암'
- 하루에 물 2ℓ 마셔야 한다⁉…“NO, 다 좋은 거 아냐”
김경원 기자
kkw97@docdocdoc.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