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홍 장관, 병협 만나 비상진료체계 점검…필수의료 지원 논의
정부의 무리한 의과대학 정원 증원 정책으로 젊은 의사들이 대거 병원을 등진 뒤 남겨진 현장의 의료진들의 피로도가 높다는 사실이 다시금 확인됐다.
또 필수의료의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의 안대로 의사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닌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지속가능한 정책이 함께 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의료계에서 계속 나오고 있다.
이는 보건복지부 조규홍 장관이 오늘(3일) 대한병원협회 윤동섭 회장을 비롯한 14명의 병협 관계자와 만나 간담회를 열고 비상진료체계를 점검하며 필수의료 지원에 대한 논의를 한 자리에서 나온 목소리들이다.
복지부는 비상진료 지원을 위해 지난달 28일 응급실 의료행위 보상 강화 등 월 1,882억 원 건강보험 재정 투입을 1차례 연장했고,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과감한 재정지원을 위해 재정투자 중점 분야로 필수의료 육성 등을 포함시켰다.
또 소아, 분만, 응급, 심뇌혈관 등 필수의료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할 예정이며, 세부적인 방안은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논의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병협 참석자들은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진료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현장 의료진의 피로도가 높은 상황"이라며 "의료체계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제대로 된 보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동섭 회장은 “필수의료의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수가 현실화 등 재정적 지원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정책이 함께 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편, 필수의료 지원 방안 등을 세부적으로 논의하는 의료개혁특별위원회 구성 방식에 대하여도 논의가 이뤄졌다 .
윤동섭 회장은 “병원협회에서 심사숙고하여 추천한 전문가를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병협 박승일 부회장(서울아산병원장)은 “의료계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공정하고 균형잡힌 구성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각 필수진료과의 상황이 반영된 세부적인 안건 등이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규홍 장관은 “정부는 각 의료기관이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든 자원을 집중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