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KT억제제·레날리도마이드·리툭시맙 2상 임상연구 결과 발표
객관적반응률 54.5%·완전관해 31.8%·1년 무진행생존율 33.1%
예후가 나쁜 재발·불응성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DLBCL)에 기존 약제를 병합한 효과적 새로운 치료법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제시됐다. 저등급 림프종 치료에 사용되는 표적항암제인 ‘BTK억제제’에 더해 다발성골수종 치료에 사용하는 면역조절항암제 ‘레날리도마이드’, C20 표적항암제 ‘리툭시맙’을 병용하는 항암요법 'R2A요법'이 그것이다.
서울대병원은 이 병원 혈액종양내과 고영일·박창희 교수와 한국림프종임상연구콘소시움 공동연구팀이 재발·불응성 DLBCL 치료를 위해 BTK억제제·레날리도마이드·리툭시맙 병용요법해 효과성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단일군 2상 임상시험을 통해 절반 이상의 환자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고, 특히 10명 중 3명은 종양이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발표했다.
DLBCL은 빠르게 진행하는 공격성 림프종의 일종으로, 악성 림프종의 절반 이상은 이 유형이다. 리툭시맙 등 항암제를 병용하는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하는데, 환자 10명 중 4명은 1차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치료 후 재발을 경험한다.
CAR-T 치료의 도입을 통해 재발·불응성 DLBCL의 예후가 개선됐지만, 여전히 절반 가량의 재발·불응성 DLBCL 환자는 정립된 표준 치료법이 없고 기대여명이 6개월에 그칠 만큼 예후가 나쁘다. 따라서 재발·불응성 DLBCL 사망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서 이들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이 필요했다.
이에 공동연구팀은 BTK억제제 '아칼라브루티닙'과 ‘레날리도마이드’, ‘리툭시맙’을 병용하는 항암요법을 66명의 환자에게 시도하고, 치료 반응을 추적 관찰하는 단일군 2상 임상시험을 실시했다.
평균 약 9개월간 추적 관찰한 결과, 객관적 반응률은 54.5%로,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이 종양 크기가 감소하거나 종양이 완전히 사라지는 치료 반응을 보였다. 특히 종양이 완전히 사라지는 완전관해는 전체 환자 10명 중 3명꼴(31.8%) 나타났다.
또한, 1년 무진행생존 비율은 전체 환자의 33.1%로, 환자 3명 중 1명은 1년간 종양이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연구팀은 BTK억제제가 저위험 림프종뿐 아니라 공격성 림프종 치료에도 효과가 있으며, 이 항암제에 기반한 병용요법이 재발·불응성 DLBCL을 완치하는 새로운 접근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동연구팀은 R2A요법으로 가장 효과가 좋은 환자군을 규명하기 위해 DNA, RNA, 단백질 기반의 바이오마커 분석을 추가로 실시한 결과, MYD88 돌연변이를 가졌거나 NF-κB 단백질 작용이 활성화된 환자가 유의미한 치료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영일 교수는 “BTK억제제 기반 항암치료는 CAR-T 치료에 실패한 재발·불응성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 환자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번 연구로 검증된 R2A요법을 최근 개발 중인 이중항체치료, CAR-T 치료와 병용한다면 생존율을 높이는 또 다른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