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전국 단위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조사 첫 실시
정신장애 유병률, 소아보다 청소년에 2배 높은 것으로 확인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정신장애 평생 유병률이 16.1%에 이르며, 현재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이 시급한 정신장애 소아·청소년이 7.1%에 달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는 보건복지부가 소아·청소년의 정신장애 유병률과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현황 등을 파악하기 위해 '2022년 정신건강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에서 확인됐다.
그간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10조에 따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실태조사는 2001년부터 5년 주기로 5차례 실시됐으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전국 단위의 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조사는 전국 6세 이상 17세 이하 소아·청소년 6,275명(가구당 1인, 소아 2,893명, 청소년 3,382명)을 대상으로, 국립정신건강센터 주관하에 서울대(연구책임자 김붕년 교수)와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약 6개월간 실시했다.
조사결과,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정신장애 평생 유병률은 16.1%(소아 14.3%, 청소년 18.0%)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유병률은 7.1%(소아 4.7%, 청소년 9.5%)로 청소년의 유병률이 소아의 유병률에 비해 약 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 평생 한 번이라도 정신장애를 경험한 소아·청소년 중 지난 1년 동안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비율은 4.3%(소아 4.7%, 청소년 4.0%)였으며, 정신건강서비스의 평생 이용비율은 6.6%(소아 7.8%, 청소년 5.6%)로 나타났다.
지난 2주간 자살 관련 행동(현재 경험 비율)의 경우, 자살 생각은 1.0%(소아 0.2%, 청소년 1.9%), 자살 시도는 0.2%(소아 0.0%, 청소년 0.4%), 비자살적 자해는 1.4%(소아 1.0%, 청소년 1.7%)로, 청소년의 경험 비율이 소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붕년 교수는 “본 조사는 전국적인 소아·청소년 정신장애와 관련 위험요인에 대한 첫 번째 국가통계조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의 7.1%는 전문가의 도움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고, 낮은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 제고 방안과 주기적인 추후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