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 미생물 간 항생제내성유전자 전파 활성화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 위험도 증가시켜
위염, 위식도역류질환, 소화성궤양 등을 치료하는 약제인 '위산억제제'와 '항생제'를 같이 사용하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다양한 미생물 종들로 구성된 생태계) 내 항생제 내성 전파가 활성화돼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관심이 집중된다.
국립감염병연구소는 병원 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사업 중 장관 내 다제내성균의 탈집락화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종단 연구 학술용역과제에서 중환자 대상 장관내 다제내성균 종단연구를 분석해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은 다제내성균 감염의 하나로 치료 약제가 제한적이며 균혈증 발생 시 사망률이 매우 높아 전세계적으로 긴급한 항생제 내성 위협으로 보고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에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나, 아직 연구 내용이 미흡하다. 또한 항생제 외 약제인 위산억제제의 위험도가 일부 알려져 있으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한 메커니즘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연구진은 중환자실에 입원 후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을 보균하는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 총 282명의 임상 정보를 분석해 항생제와 위산억제제의 병용 투여가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증의 위험도를 높인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중 분변 검체를 확보할 수 있는 98명의 환자에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한 결과, 항생제와 위산억제제를 동시 처방할 시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세균들 사이에서 항생제 내성 유전자 전파가 위산억제제 비처방군에 비해 활발했다.
연구진은 "항생제 처방 시 위산억제제, 특히 양성자펌프억제제 동시 처방에 주의를 해야 하며, 위산억제제 과용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에 영향을 주어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항생제와 위산억제제의 적정 사용 전략 마련 및 그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