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진료 중증질환자들 '안전 문제' 지적
휴진 통한 투쟁, 국민과 의료계의 반목 심화시켜
전공의에 불이익 발생 않게 모든 조치할 것 약속
서울대병원 김영태 원장이 지난 6일 이뤄진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의 무기한 진료 중단 결정에 대해 불허 입장을 밝혔다.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김영태 원장은 7일 오후 서울대병원 그룹 전체 교수에게 이메일로 이같은 입장을 전달했다.
김 원장은 "이번 결정이 심각하고 중대한 문제에서 비롯된 것임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자 진료가 중단되지 않기를 간곡히 요청드린다"며 "환자들은 우리의 진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진료가 중단되면 우리 환자들이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그 이유를 짚었다.
김영태 원장은 국가중앙병원인 서울대병원 수장으로서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는 점을 밝히며 비대위 결정에 불허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피력했다.
김 원장은 "특히 중증 환자와 암환자 등 심각한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대다수인 우리병원의 진료 중단은 환자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이는 국민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서울대병원이 이뤄낸 성과를 한순간에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비대위의 무기한 진료를 중단하겠다는 결정에 대해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어 "비대위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번에 발표한 무기한 휴진은 우리병원을 믿고 다니는 환자들의 불편을 넘어서서 안전에도 상당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며 "서울대병원장으로서 비대위의 결정을 존중해왔지만, 이번 결정은 동의하기 어려우며, 집단 휴진은 허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비대위의 이달 17일부터의 무기한 휴진 방식의 투쟁이 국민과 의료계와의 반목을 심화시키고 의사들이 원하는 진정한 의료에서 멀어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점도 김 원장은 짚었다. 또 서울의대 교수들이 투쟁에 나선 강력한 동기인 전공의에 대한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원장은 "병원장으로서 전공의에게 일체의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을 약속드린다"며 "복귀 전공의의 안전은 제가 책임지겠으니 교수님들께서는 집단 휴진에 대한 결정을 거둬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