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강원대병원 교수 비대위 "증원 취소가 유일한 해결책"
"정부는 전공의 서울 이동 유도만…이대로면 파국, 시간 없다"
지역 국립대병원 교수들이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 의대 정원 증원을 취소해 달라고 호소했다. "아직 늦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나 더 이상 "기다릴 여유가 없다"고 했다. 두 병원이 30년 넘게 지탱한 지역의료가 무너지기 직전이라고 했다.
충북대병원과 강원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30일 성명을 내고 "정부 증원 정책으로 지역의료가 사망 직전"이라면서 이제라도 의대 증원을 취소하라고 호소했다. 이대로 전공의와 학생이 돌아오지 않으면 "지역거점국립대병원은 붕괴된다"면서 "시간이 없다. 파국을 막으려면 의대 증원은 취소돼야 한다"고 했다.
이들 교수 비대위는 "우리 병원은 지역거점국립대병원으로 규모는 작아도 도내 최종의료기관으로 역할을 성실하게 수행해왔다고 자부한다"며 "정부의 근거 없는 증원으로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지난 30여년간 구성원 모두가 노력해 만든 병원과 학교를 떠났다. 결과적으로 의예과 신입생 2,000명을 늘리려다 곧 전문의가 될 전공의 8,000명을 잃은 셈"이라고 했다.
지금까지 지역과 필수의료는 "전공의 희생으로 명맥을 유지해 왔다"면서 정부는 지금 "지방 대학병원 사직 전공의가 서울로 이동해 수련하도록 정책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지역과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 의대 증원을 한다던 말과도 모순되고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애초부터 지역의료에 관심이 없다는 방증"이라고 했다.
파국을 막으려면 의대 정원 증원을 "지금 당장 취소해야 한다"고 했다. 이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들 교수 비대위는 "현재 시스템이 다 무너진 뒤에는 복구까지 향후 10년 이상이 걸린다. 지금은 기다릴 여유가 없다"며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 조규홍 복지부 장관에게 간곡히 호소한다. 의대 교육 중단 사태와 앞으로 예견되는 교육 질 저하 그리고 전공의 사직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은 당장 의대 증원을 취소하는 것이다. 조속히 결단을 내려달라"고 했다.
충북의대-충북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 채희복 위원장은 이날 성명과 함께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대학병원이 정상적인 진료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입원환자 30%, 외래 진료는 70% 유지하고 있다. 입원환자를 돌보던 주치의가 사라지니 평소 환자의 30%밖에 감당 못한다"고 했다. 이마저도 "낮에 외래 등 정상 근무하는 교수가 교대로 밤 당직을 하며 6개월째 버티고 있어서" 가능한 정도라고 했다.
이들 교수 비대위와 충남의대-충남대병원 비대위는 오는 31일 '공공의료가 나아갈 방향과 차세대 의사에게 드리는 제안'을 주제로 공동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지역의료 위기와 각 지역 상황을 공유할 계획이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