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서상욱 교수, 이아라 박사 연구팀 연구결과
가톨릭대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서상욱 교수, 이아라 박사 연구팀이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존 3형 일본뇌염바이러스보다 치명률이 높고 현재 개발된 백신으로 효과적인 방어가 불가능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는 아직 다른 나라에서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과거 말레이시아와 중국에서 분리된 바이러스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돼 주변 일본뇌염 유행 국가들로부터도 주의가 집중되고 있다.
연구팀은 질병관리청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받은 국내 분리주를 이용해 동물 모델을 통해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2015년 일본뇌염 환자에서 분리된 NCCP 43279 바이러스는 3형 일본뇌염바이러스보다 높은 치명률을 보였다. 또 표면 단백질 차이로 인해 현재 개발된 일본뇌염 백신으로는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상욱 교수는 "2010년 이후 국내 일본뇌염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한 지속적인 분리 및 연구가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백신 개발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신종 미생물 및 감염 국제 학술지 'Emerging microbes & infections'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임웅 기자
wlim@docdocdoc.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