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서미화 의원실, 전수 감시 결과 발표
올해 8월까지 국내 매독 환자 1,881명 확인
"매독 추가 전파 차단 위한 예산 지원 필요"

성 매개 감염병 중 하나인 ‘ 매독 ’이 올해 1월 1일부터 전수감시 대상 3 급 감염병으로 전환되며 급격한 증가세를 보여 주의가 요구된다 .

10일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전수감시 전환으로 발굴된 총 매독 감염 환자가 2023년 한 해 대비 352% 가량 폭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

매독 감염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일본의 경우 2013년부터 매독 감염자가 1,000명을 넘어선 이후 2016년 4,000명대, 2017년 5,000명대에 접어들며 2022년 1만3,250명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

표 제공=서미화 의원실
표 제공=서미화 의원실

미국 또한 70년 만에 최악의 수준으로 매독 감염이 퍼지며 2022년 20만7,255건을 기록했다. 올해 2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성병 담당 국장 직무대행 로라 바크먼 박사는 최근 보건 당국의 자원이 코로나 19, 엠폭스 등 공중보건 비상사태들에 몰려 상대적으로 예산 지원이 줄어들어 성병 피해자들의 건강이 위협받는다고 말한 바 있다 .

올 한 해가 끝나기 전에 매독 감염자가 1,000명을 넘어선 우리나라 역시 매독의 추가 전파 차단을 위한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서미화 의원은 "최근 질병관리청에 예산 편성 여부를 문의한 결과 , 현재까지 성 매개 감염병 예산 내에서 역학조사를 위한 여비 일부만 지원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며 "올해 새로 시행하는 전수 감시 체계를 통해 매독 감염의 정확한 규모와 역학관계를 파악하고, 매독 확산 시 신속한 예산 마련의 근거로 삼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