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세브란스병원 강정현 교수, AMG 지수 낮으면 생존율↓
“AMG 지수로 항암치료 여부·추적 관찰 주기 결정할 수도”

국내 의료진이 대장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제시했다. 혈액 내 단백질 성분인 알부민 및 근지방 지수(SMD)가 낮을수록 대장암 환자의 사망률이 높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발견한 것이다.

강정현 교수. 사진=강남세브란스병원 제공

강남세브란스병원은 대장항문외과 강정현 교수 연구팀이 대장암의 새로운 예후인자로 AMG(알부민-근지방 지수·Albumin-Myosteatosis Guage)를 제시한 이같은 결과의 논문을 국제 노인병학저널 ‘J Cachexia Sarcopenia Muscle'에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대장암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암에 의한 염증성 반응은 면역 조절 인자인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이 사이토카인은 근육에 지방이 쌓이는 근지방증을 유발하거나 간 내 알부민 생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근지방증과 알부민 수치는 대장암의 예후 인자로 거론돼 왔다. 

근육에 지방이 쌓여 질 좋은 근육의 비율이 낮거나, 알부민 수치가 낮을 경우 암의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두 가지 인자를 모두 반영해 예후를 살필 수 있는 산술적 지표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근지방 지수와 알부민 수치를 동시에 반영하는 새 지표 AMG는 혈청 알부민(g/dL) x 골격근 방사선 밀도(SMD)라는 것을 고안해냈다. 이 지표의 실효성을 증명하기 위해 교수팀은 2006년 7월~2014년 2월 대장암 1기에서 3기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CT검사에서 근지방증 및 알부민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환자 90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환자별로 AMG를 산출해, AMG 수치에 따라 남성과 여성을 네 그룹으로 구분했다. 남성의 경우 158.6, 189.9, 218.5를 기준으로 네 그룹으로 나누었고, 여성의 경우 138.4, 174,0, 200.5를 기준으로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이것을 합해 G1~G4 네 개 그룹으로 설정한 뒤 그룹별 환자 예후를 분석했다.

그 결과 AMG 값이 가장 낮은 그룹인 G1의 5년 생존율은 73.4%로, 다른 그룹에 비해서 생존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G2와 G3의 생존율은 각각 86.2%, 91.1%였으며 AMG 값이 가장 높은 그룹인 G4의 5년 생존율은 95.5%로 가장 높았다.

강정현 교수는 “대장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로서 AMG의 유용성을 확인한 연구”라며 “AMG는 대장암 환자의 악액질 위험과 영양 상태를 반영하는 새로운 예후 바이오마커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술 전 알부민-근지방 지수를 측정해 환자의 예후를 예측한다면 수술 후 항암치료 여부를 결정하거나, 추적관찰 시기를 유연하게 조절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