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성형외과 정재훈 교수 연구팀, 림프절 지지체 개발
동물실험으로 지지체 이식 결과, 림프절 재생 촉진돼 림프부종 개선
암 수술 합병증으로 암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큰 불편감을 주는 림프부종을 해결할 새로운 재생의학 치료법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제시됐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성형외과 정재훈 교수 연구팀이 기존 수술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재생의학에서 찾아 림프절 지지체 개발을 했고, 그 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했다고 22일 밝혔다.
림프부종은 종양 절제 수술 시 전이를 막기 위해 림프절을 함께 절제하게 되면서 그 합병증으로 나타난다. 다리가 붓고 무거워지며, 통증과 감염이 생기면서 암 환자는 삶의 질이 떨어지고 고통에 시달리게 된다.
림프부종은 과거 압박치료, 물리치료 같은 보존적인 치료가 주류를 이웠고, 최근에는 림프정맥문합수술, 림프절이식수술 같은 성형외과 수술이 정립되며 림프부종 치료에 활로를 열어주고 있다.
현재는 림프부종 환자에게 보존적 치료와 더불어 수술을 통한 치료를 적극 고려하고 있으며, 특히 치료가 어려웠던 중증 환자에서도 긍정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어 고무적이다. 또한 림프절을 광범위하게 절제하게 될 환자를 대상으로 미리 림프정맥문합수술을 시행해 림프부종을 예방하는 방법까지 치료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다만 현재 널리 사용되는 수술법에도 한계는 있다. 림프정맥문합수술의 경우, 림프액이 흐를 수 있는 우회도로를 만들어주는 수술 방법인데, 림프 순환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해 시간이 흐르면서 우회도로가 다시 막히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림프절 이식수술 또한 림프절을 다른 정상부위에서 채취해 부종이 있는 부위에 이식해주는 방법인데, 림프절을 채취한 부위에서 역으로 부종이 생길 수 있는 점이 우려된다.
이와 관련 연구팀은 새로운 림프부종 치료법으로 먼저 쥐의 림프절을 채취해 세포 성분을 모두 없앤 림프절 지지체(스캐폴드, Scaffold)를 만든 다음, 여기에 사람의 지방유래줄기세포를 주입하는 재세포화(recellularize) 기술을 활용해 쥐의 림프부종 부위에 이식한 후 효과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지방유래줄기세포와 스캐폴드의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실험쥐를 총 4개의 그룹으로 나눴다.
1군은 림프절 절제만 시행했고, 2군은 림프절 절제 후 지방유래줄기세포만 주입했다. 3군은 림프절 절제 후 스캐폴드만 이식을 했고, 4군에는 림프절 절제 후 지방유래줄기세포로 재세포화시킨 스캐폴드를 이식했다.
그 결과 새로운 혈관형성을 자극하는 물질인 혈관내피성장인자(VEGFA)의 발현은 림프절 절제 후 지방유래줄기세포로 재세포화시킨 스캐폴드를 이식한 4군에서 가장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림프관 내피 히알루로난 수용체1(LYVE-1) 역시 림프절 절제 후 지방유래줄기세포로 재세포화시킨 스캐폴드를 이식한 4군에서 다른 군과 비교했을 때 가장 활발하게 발현됐다. 이로써 사람의 지방유래줄기세포로 재세포화시킨 스캐폴드를 이용한 림프부종 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재훈 교수는 “이번 연구는 림프부종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에 대한 치료를 할 수 있는 접근방법으로, 림프절과 세포를 같은 종뿐만 아니라 다른 종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림프절 이식 수술 시 림프절 채취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덜 수 있게 되는 등 현재의 치료방법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게 돼 림프부종을 극복하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퇴행성관절염 유발 억제하는 항체치료제 개발
- 고혈압 환자, 혈압 조절하면 심‧뇌혈관질환 위험 최대 60% 감소
- WHO 사망 위험 요인 1위 ‘고혈압’…국내 20~30대 비상
- 희귀질환 치료의 성지 ‘아주대병원’…유전자 검사수가 증명한다
- 마스크 해제 나비효과…한달 새 영유아 수족구병 3배 넘게 늘어
- 말기에 대부분 진단되는 '난소암', 그래도 수술하는 이유
- 당뇨병 진단 시기 빠를수록 심혈관질환 '유전적 위험' 올라간다
- 골다공증 치료제, T점수 '-2.5'면 급여 중단?…"최소 3년 이상 보장을"
- 심부전치료제 '엔트레스토', 심박출률 40% 초과 시 급여 근거 나와
- 간학회 의료진들 "비대상성 간경변증에 산정특례 도입 필요하다"
- 아토피피부염 환자, 미세먼지 회피·피부위생 챙기는 것 더 중요해져
- 20~30대 ○○질환 있으면 심근경색 58%↑ 뇌졸중 42%↑
- 국산 폐암 신약 '렉라자', 국내 의료환경에서 실제 효과 입증
- 신개념 국산 '결핵백신', 성인 대상 연구에서 뛰어난 효과 확인
- 돌연변이가 만든 종양 '지스트'…식도부터 직장까지 전체 위장관 타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