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배웅진·김세웅 교수, 저강도 체외충격파 안정성·유효성 확인
만성전립선염에도 효과…"기존 치료 반응 없는 난치성비뇨기질환 새 치료"
난치성 만성골반통증후군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대두된 '저강도 체외충격파'가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 신의료기술 심의를 통과하면서 새로운 치료법이 국내 안착할 것으로 예견된다.
서울성모병원은 비뇨의학과 김세웅·배웅진 교수팀이 비염증성 만성골반통증후군 임상연구를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한 체외충격파 치료법이 최근 NECA 신의료기술 심의를 통과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2022년 국제학술지에 게재된 김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신의료기술을 신청한 결과라고 서울성모병원은 설명했다. 앞서 김 교수팀은 비염증성 만성골반통증후군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 만성전립선염 증상 점수와 국제전립선 증상점수와 같은 객관적인 지표로 저강도 체외충격파의 효과를 밝힌 바 있다.
또한 지난 2021년 11월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에서 임상시험 연구로 체외충격파의 만성전립선염 치료 효능도 입증된 바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발표 후 올해 개최된 ‘19회 아시아태평양성의학회 & 40회 대한남성과학회 학술대회’에서 SCIE 등재 학술지인 ‘The World Journal of Men's Health’의 2022년 ‘최다 인용상(Most Cited Article Award)’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동안 저강도 체외충격파를 이용 발기장애, 만성전립선염, 만성골반통증후군 등 비뇨기 질환 치료를 꾸준히 연구해온 김세웅 교수는 "대표적인 난치성 질환인 만성골반통증후군 환자가 일반적인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만성전립선염은 전립선 염증이 주된 소견으로, 배뇨증상과 성기능 장애를 동반한다. 하지만 염증이 뚜렷하게 없는 상태로 유사한 증상을 보이기도 해, 만성골반통증후군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질환은 50세 이하 남성에 흔하며, 우리나라 남성의 유병률은 5~9%로 보고되고 있다.
이 병은 원인이 정확하지 않으나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전립선이 감염되며, 자가면역질환, 스트레스 등이 영향을 줄 수 있다. 빈뇨, 배뇨 통증, 고환을 비롯한 회음부와 골반부 통증, 잔뇨감을 비롯한 각종 하부 요로증상, 지속적인 불편감 등이 나타난다.
현재 항생제, 진통소염제 등 약물치료와 전립선 마사지, 온열 치료 등이 주 치료법이다. 하지만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균이 명확하지 않고 원인이 다양해 치료가 어렵고, 재발이 잦아 삶의 질이 떨어진다.
이번에 심의를 통과한 치료법은 환자의 회음부에 체외충격파를 주는 치료다. 직접 전립선에 저강도 체외충격파를 가해 혈관을 재형성하고 항염증 효과 일으켜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고 조직을 치유하는 원리이다. 저강도 체외충격파 (Li-ESWT, low intensity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기기는 체외충격파 전문 기업인 에이치엔티메디칼이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다.
관련기사
- 2018년 이후 국가관리대상 미지정 희귀질환, 올해 일괄재심의된다
- '인공관절·스텐트' 결함·오작동 피해, 책임보험으로 배상됩니다
- 노바티스, '유전성 망막변성질환' 유전자검사 지원프로그램 론칭
- 국민 83% "치료제 있는 희귀질환, 신생아 선별검사 지원 필요"
- 대사증후군 있는 여성, 자궁경부 상피세포 이상 위험 높아
- 난임 극복할 수 있다…속도 차 있을 뿐 임신 성공 훨씬 많아
- "희귀의약품 지출비, 지난해 6224억원"…8년간 3배 넘게 뛰었다
- 심장 재생·기능 회복 조절 물질 발견…"심부전치료제 개발 기대"
- 희귀질환 극복까지 한 걸음 더…政, 소아청소년 지원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