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광화상에 농포까지…2차 세균감염 여부, 병원서 확인 필요
병원 진료 어려울 땐 심한 염증·통증 조절 위해 소염진통제를
여름 휴가철 바닷가나 산 등에서 햇빛에 지나치게 노출되면 자외선으로 인한 ‘일광화상’을 흔히 입을 수 있다.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가 당기면서 화끈하고 따가운 증상은 일광화상이 발생한 신호이므로 그 즉시 야외활동을 중단하고, 그늘진 곳으로 이동해야 한다.
강북삼성병원 피부과 최영준 교수는 “초기의 일광화상은 차가운 물, 냉타올, 얼음찜질, 알로에, 무알콜 화장수 등으로 피부를 냉각 및 진정시킬 수 있다"며 "특히 차가운 우유에 적신 수건을 이용해 피부를 진정하는 것은 우유의 단백질과 지방 성분이 피부 장벽을 보호해 줄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일광화상으로 물집이 생긴 뒤 농포가 발생했다면 피부의 2차 세균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
최영준 교수는 "이때는 병원에 내원해 항생제 및 소염제, 색소침착억제제 등을 처방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며 "병원 진료를 받기 어려운 장소에 있는 경우에는 아스피린,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를 복용하면 피부 염증 반응과 통증이 경감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광화상으로 인한 통증을 더 악화시킬 수 있는 것도 피해야 한다.
최 교수는 "증상이 심한 부위에 뜨거운 물, 샴푸, 향수, 알코올 성분이 함유된 화장품(스킨 토너 등), 자극적인 클렌저나 스크럽 등의 접촉은 자극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 국내 의료진, 심한 오십견 통증 시 효과적 치료법 제시
- 비만약 '삭센다' 자살 위험성 보고…식약처도 예의주시
- "아토피치료제 '시빈코',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려움증 해소"
- ‘만성신부전’ 환자들이 무더위에도 맘껏 물을 마시지 못하는 이유
- 어렵게 받은 녹내장 수술 관리 못하면 “말짱 도루묵”
- [유한욱의 희귀질환 톺아보기] 임신 앞둔 부부들의 산전 보인자검사
- [헬스로그 명의] 운동 뒤 콜라색 소변 잦다…지방 잘 못 태우는 병일수도
- 신장암으로 신장 모두 떼야했는데, 부분 절제…어떻게?
- HIV 치료제 ‘빅타비’, 5년간 바이러스 억제율 98% 유지
김경원 기자
kkw97@docdocdoc.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