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빌헬름재단, 전국 미진단 희귀질환 환자·가족 사진 촬영
국제 미진단연구네트워크 통해 국내·외 미진단 환자 진단·치료 기여
채종희 교수 “지금은 원인 모르지만 언젠가 반드시 원인 찾아 치료"
故이건희 회장 기부금, 미진단 희귀질환자 유전체·기능 연구 이끌어
서울대병원이 미진단 희귀질환자에게 진짜 병명을 찾아주기 위한 '미진단 희귀질환 포토 프로젝트'를 본격화해 관심이 집중된다.
서울대병원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은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미진단 희귀질환 어린이들과 그 가족을 초청해 그들의 사진을 찍고, 전 세계의 다른 연구자들과 공유해 미진단 환자의 진단을 돕기 위해 ‘희귀질환 포토 프로젝트’를 기획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 미진단 희귀질환 네트워크(UDNI, Undiagnosed Diseases Network International)를 지원하는 스웨덴 빌헬름 재단과 함께 진행된다. UDNI는 전 세계 41개국의 대학, 병원, 연구소 등에서 연구하는 전문가들이 모여 활발한 학술활동과 공동연구를 이어가고 있는 국제기구다. 국내에서는 서울대병원 희귀질환센터가 가입해 활동하고 있다.
사업단은 이번 포토 프로젝트를 통해 진단조차 내리지 못해 소외되고 위축된 희귀질환 가족들이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돕고, 희귀질환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UDNI와의 협업을 통해 미진단 희귀질환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를 도울 수 있도록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진단조차 받지 못해 한 번도 가족사진을 찍어본 적이 없는 희귀질환 가족들에게 소중하고 아름다운 추억을 선물하고, 병명도 없는 상태지만 소외되지 않도록 진단 및 치료 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희귀질환 환자들의 모습을 찍은 사진과 사례는 UDNI 등에 공유돼서 국내 환자를 포함해 전 세계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에 활용된다. 사업단은 앞으로도 이런 행사를 통해 희귀질환 환자와 가족의 사회적 인식의 개선과 함께 진단과 치료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서 더 많은 희망을 나눌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랑이(가명)이는 14살이지만 여전히 유모차에 앉아만 있고 몸을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다. 다니던 병원에서 원인을 알 수 없으니 더 해줄 수 있는 것이 없다고 그만 오라는 말을 들었을 땐 절망스러웠다.
하지만 이대로 아이를 포기할 수는 없었다. 아직은 원인을 모르지만 사랑이의 원인을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 진단부터 치료까지 가보자고 손을 내밀어 준 서울대병원 희귀질환센터 미진단 클리닉 의료진을 믿고 사랑이 가족은 다시 힘을 내보기로 했다. 열심히 병원에 다녔고, 이날도 프로젝트에 참여하려고 새벽부터 준비를 해서 지방에서 올라왔다.
사랑이는 엄마 목소리에는 웃으며 반응하지만 다른 낯선 목소리는 두려워하면서 울음을 그치지 않는다. 하지만 이날은 달랐다. 생소한 장소에서 찰칵찰칵 소리가 들리니 처음에는 표정이 굳어졌던 사랑이가 베테랑 사진작가 릭(Rick)을 포함한 모든 이들이 “사랑아~우리 사랑이 너무 잘하네!” 하고 이름을 불러주고 응원을 해주자 자연스레 얼굴에 미소가 피어오르면서 가장 예쁜 사진을 남길 수 있었다.
사랑이 부모님은 “오랜만에 일상의 즐거운 시간으로 돌아가 다른 가족들처럼 기억에 오래 남을 소중한 가족사진을 남기게 해준 서울대병원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의 지원에 감사하다”라며 “이번 행사처럼 사회적 편견이 변화될 수 있는 다양한 기회가 더욱 많아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 희귀질환사업부장 채종희 교수는 “환자와 보호자는 절대 혼자가 아니며, 지금은 비록 원인을 모르지만 언젠가는 반드시 원인을 찾아 치료에 다가가기 위해 의료진은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의 노력은 큰 도전이고 또 긴 여정이지만 여기에 함께하는 사회의 관심과 기업의 기부가 큰 마중물 역할을 해주고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고(故) 이건희 회장 기부금으로 운영 중인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은 미진단 환자를 포함해 희귀질환 어린이 환자들의 진단을 돕기 위해 유전체·기능연구 기반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을 2021년 9월부터 진행하고 있다.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경북대병원, 충북대병원, 양산부산대어린이병원, 전남대병원 등 전국의 16개 병원이 참여해 2023년 7월 현재 약 1,900건의 환자와 가족의 유전체 분석 및 진단을 위한 다양한 최신기술기법을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다. 앞으로 2030년까지 총 3만여 명의 환자와 가족이 검사 지원을 받게 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 호르몬 양성·HER2 음성 유방암치료제 '입랜스' 입지 넓어졌다
- 무릎뼈 탈구된 내 아이, 수술 적기는?…첫 치료방침 결정 기준 나와
- 50세 전 발병 '조기 대장암', 비타민D 농도 높을수록 위험 낮다
- 유니스트, 루푸스·신장염 발병 단백질 규명
- 성조숙증 공포가 낳은 과잉의료…심평원 “키 크는 약 아냐”
- 아토피 인식개선 나서는 중증아토피연합회…‘건강토크쇼’ 연다
- 위암수술 뒤 '담낭결석'과 '요로결석'이 잘 생기는 진짜 이유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美 ‘캔서문샷’ 멤버로 합류
- ‘오십견’이 다가 아니다…젊은 연령층에 늘고 있는 ‘삼십견’‧‘사십견’
- 오는 25일 중증 천식 치료 사각지대 개선 위한 토론회 열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