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 불문 비타민D 농도 높을수록 대장암 발생 위험↓
나이와 관계없이 혈중 비타민D 농도가 높을수록 대장암 발생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는 50세 이전 발병되는 조기 대장암도 예외는 아니라는 점에서 관심이 주목된다.
강북삼성병원은 데이터관리센터의 류승호·장유수 교수 연구팀이 2011년~2018년 사이에 이 병원 종합건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23만여명을 6.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이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조기 대장암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큰 폭으로 증가해 왔으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20~49세 젊은 성인의 대장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12.9명으로 조사 대상 42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급격히 증가한 젊은층 대장암 발생 요인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젊은 세대에서 증가하고 있는 좌식 생활, 야외 활동 감소, 운동 부족, 가공식품 섭취, 불규칙한 수면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참여 대상자를 연령대별로 50세 미만과 50세 이상 두 그룹으로 나눠 혈중 비타민D 농도에 따른 대장암 발생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혈중 비타민D 농도는 건강한 인구집단에서의 권고 수치인 '20ng/mL 이상'인 경우를 '충분'으로 정의하고, 각각 ▲10ng/mL 미만 ▲10-19ng/mL ▲20ng/mL 이상의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연구 결과, 50세 미만과 50세 이상 연령층 모두에서 혈중 비타민D 농도가 높을수록 대장암 발생 위험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타민D 혈중 농도가 가장 높은 '20ng/mL 이상' 그룹에서 혈중 농도가 가장 낮은 '10ng/mL 미만'인 그룹에 비해 대장암 발생 위험이 50세 미만에서는 59%, 50세 이상에서는 48%까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장유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요즘 젊은 연령에서 보고되는 조기 대장암의 가파른 증가에 비타민D 부족이 기여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현재 50세 미만의 성인은 대장암 검진 대상으로 분류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어 장 교수는 "따라서 조기 발견이나 발병 후 관리가 어려운 50세 미만의 젊은 성인에서 20분 이상 햇볕 쬐기, 비타민 D가 풍부한 음식 섭취, 필요시 보충제의 복용 등 비교적 간단한 생활 습관의 변화가 대장암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유니스트, 루푸스·신장염 발병 단백질 규명
- 성조숙증 공포가 낳은 과잉의료…심평원 “키 크는 약 아냐”
- 희귀·난치질환자, 자가치료용 마약류 의약품 중복 승인 절차 개선된다
- 워터파크 다녀온 뒤 빨간눈…'감염성 결막염' 징조
- "하루 커피 2잔 넘게 마시면 적게 마신 사람보다 고혈압 위험 낮아"
- 아토피 인식개선 나서는 중증아토피연합회…‘건강토크쇼’ 연다
- 위암수술 뒤 '담낭결석'과 '요로결석'이 잘 생기는 진짜 이유
- 무릎뼈 탈구된 내 아이, 수술 적기는?…첫 치료방침 결정 기준 나와
- 미진단 희귀질환 포토 프로젝트 국내 본격화…진단이라는 희망 선사
- ‘오십견’이 다가 아니다…젊은 연령층에 늘고 있는 ‘삼십견’‧‘사십견’
- AI로 날개 단 디지털병리, 암 치료에 변화 가져오지만…제도가 걸림돌
- 오는 25일 중증 천식 치료 사각지대 개선 위한 토론회 열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