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정희원 교수팀, 65세 이상 약 1만8000명 대상 연구
“건강한 노년 위해 금연·절주 건강생활습관과 만성질환관리 중요”

대한민국 노인의 건강 상태가 10년 새 노쇠는 반으로 준 반면, 만성질환은 2배로 늘었다는 대규모 조사 결과가 나와 관심이 집중된다. 이는 그간 건강한 노인도 늘었지만, 질병에 시달리는 노인도 늘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정희원 교수와 강민구 교수. 사진 제공=서울아산병원
정희원 교수와 강민구 교수. 사진 제공=서울아산병원

서울아산병원은 이 병원 노년내과 정희원 교수, 빛고을전남대병원 노년내과 강민구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65세 이상 1만7,784명의 연도별 건강 동향을 분석한 결과, 지난 12년간 만성질환 유병률이 약 2배 증가했지만 노쇠한 비율은 절반가량 감소했다고 2일 밝혔다.

노쇠는 허약이라고도 하며, 노화와 질병의 축적으로 기능이 감퇴해 스트레스에 취약해진 상태를 말한다. 생활습관이 불규칙적이거나 질병, 약제 복용이 관리되지 않고 신체 활동이 저하되면 노쇠 위험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동반질환, 기능적 수행능력, 징후 및 증상, 검사 수치 등 4개 영역의 30여 가지 항목을 평가해 노쇠 지수를 측정하고, 노쇠 지수에 따라 건강 단계, 노쇠 전 단계, 노쇠 단계로 분류했다.

먼저 연도별 평균 노쇠 지수는 2008년 0.23점에서 2020년 0.18점까지 감소했다. 노쇠 지수가 0.2점 이상이면 노쇠 전 단계로 보며, 노화와 만성질환이 겹쳐 걷는 속도가 다소 느려지며 허리가 약간 굽고 근육이 다소 빠진 상태로 본다.

또한 연도별 노쇠한 노인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 2008년 41.1%에서 2020년 23.1%까지 절반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쇠하지 않고 건강한 비율은 2008년 28.7%에서 2020년 44.2%까지 크게 증가했다.

노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도 지난 12년간 크게 변화했다.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은 2008년 17.9%에서 2020년 40.9%로, 당뇨병은 20.6%에서 30.0%, 심혈관질환은 5.6%에서 9.3%까지 증가해 전반적으로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다만 씹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 비율은 2008년 59.4%에서 2020년 33.1%까지 감소했으며, 일상적인 활동에 어려움이 있는 비율은 42.2%에서 12.0%, 흡연자는 17.0%에서 9.3%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는 “만성질환을 앓는 비율은 늘었지만 젊었을 때와 다름없는 활동적인 일상을 유지하는 노인들이 많다. 의료 접근성이 향상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질환에 대해 적절한 치료와 예방조치를 취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 것으로 해석된다”며 “가능한 젊을 때부터 규칙적인 생활습관과 운동, 금연, 절주, 스트레스관리 등을 통해 건강관리를 하고 만성질환을 적절히 관리하면 노쇠를 늦춰 건강한 노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