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골충돌증후군’, 손목관절 과부하로 삼각섬유연골 닳아
# 직장인 김모(32) 씨는 요즘 퇴근 후 테니스와 필라테스 운동을 번갈아 매일 한다. 열심히 운동하고 개인 SNS에 ‘오운완’(오늘 운동 완료) 인증사진 올리는 것도 빼먹지 않는다. 그러던 김 씨는 운동하면서 손목 통증이 생겼다. 아픈데도 참고 운동을 계속하다 최근 통증이 더 심해져 병원을 찾아 검사를 통해 ‘척골충돌증후군’이라는 생소한 진단을 받았다.
최근 MZ세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테니스와 요가‧필라테스‧골프 등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면서 손목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들은 대부분 손목 연골이 닳아 생기는 ‘척골충돌증후군’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척골충돌증후군은 퇴행성 관절질환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손목을 자주 비트는 운동인 테니스와 요가‧필라테스‧골프‧탁구 등의 운동을 즐기는 젊은 연령층이 늘면서 20~30대 환자들도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척골충돌증후군은 대개 팔뚝을 구성하는 두 뼈 가운데 하나인 척골이 요골에 비해 길면 잘 생긴다. 손목관절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과부하로 팔뚝 안쪽 뼈인 척골두와 손바닥‧손목뼈로 구성된 수근골과 그 사이 삼각섬유연골이 닳아서 손목 통증이 생기는 것이다. 주로 손목을 비트는 동작인 방문 문고리를 돌리거나 걸레를 짜고, 자판을 칠 때 손목 통증이 나타난다.
척골충돌증후군은 연골 마모 또는 파열로 통증이 나타난다. 손목을 새끼손가락 방향 척골 쪽으로 꺾은 상태에서 통증이 생기거나 새끼손가락 쪽 손목뼈 사이 오목한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을 느낀다면 의심할 수 있다.
초기 척골충돌증후군 치료는 약물‧주사‧재활 치료로 한다. 오래 방치하면 손목을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심해져 수술 치료가 불가피해진다. 손목 척측 부하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손목이 척측으로 꺾인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피하고, 팔꿈치와 손목 사이 부분인 전완부 근력운동을 꾸준히 하면 좋다.
중앙대병원 정형외과 이재성 교수는 “테니스‧요가 등 손목을 쓰는 운동을 하면서 통증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 병이 악화해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며 “특별히 다치지 않고 손목 회전 시 또는 팔굽혀펴기할 때 척측 손목이 계속 아프면 빨리 병원을 찾아 정확하게 진단해 초기에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