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리, ESMO 2023에서 monarchE 3상 5년 추적 결과 발표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 5년 재발 위험 32%↓…IDFS 7.6% 개선
NCCN, '버제니오+내분비요법' 1차 치료 옵션 지정

국내에서 호르몬 수용체 양성(HR+), 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음성(HER2-) 진행성 혹은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허가된 릴리 버제니오가 5년까지도 재발 위험 32%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2023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ESMO) Congress)에서는 HR+/HER2-, 림프절 양성 재발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내분비요법 단독 요법 대비 버제니오(성분명: 아베마시클립)+내분비요법을 평가한 monarchE 3상 임상시험의 5년 추적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사진 : 버제니오정
사진 : 버제니오정

독일 LMU 대학병원 유방센터장 및 보존적 항암치료 책임자로 이번 2023 ESMO 연례학술대회에서 연구결과를 발표한 나디아 하벡(Nadia Harbeck) 박사는 “5년이라는 추적 연구 기간은 유방암 보조요법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확립된 획기적인 지표로, HR+/HER2- 재발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 및 임상의에게 중요한 이정표와 같다”며, “이번 monarchE 5년 연구 결과 침습적무질병생존율(IDFS; Invasive Disease-Free Survival) 및 원격무재발생존율(DRFS; Distant Relapse-Free Survival) 곡선은 계속해서 분리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벡 박사는 "이는 버제니오 2년 치료가 완료된 이후에도 임상적 효과가 지속된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라며 "이는 HR+/HER2- 재발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를 위한 수술 후 보조 치료 단계에서 내분비요법과 함께 버제니오의 역할에 대한 신뢰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공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 치료 환자군(ITT; Intent-to-treatment)에서 침습적 질병 발생 위험은 32% 감소했다. 

대조군과 비교한 버제니오 투여군의 침습적무질병생존율(IDFS)과 원격무재발생존율(DRFS) 수치 차이는 5년차에 각각 7.6%와 6.7%로 더욱 심화됐으며, 이는 2~4년차 대비 임상적 유효성이 개선됐음을 반영한다. 침습적무질병생존율(IDFS) 관련 사건의 대부분이 원격무재발생존율(DRFS) 사건에 포함되는 가운데, 버제니오가 원격 전이 또는 사망 위험을 32.5% 감소(HR=0.675, 95% CI: 0.588, 0.774; p<0.001) 시킴에 따라 원격무재발생존율(DRFS)에 대한 혜택 또한 지속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5년 추적 연구에서 카플란-마이어 곡선(Kaplan-Meier curves)은 분리가 지속됐고, 이는 2년 간의 치료 기간 이후에도 효과가 이어진다는 점을 확인하는 결과였다. monarchE 코호트 1 임상 결과도 IDFS, DRFS 모두 전체 환자군(ITT)과 일관되게 나타났다. 하위 그룹 분석에서도 IDFS, DRFS를 통해 임상적 혜택이 확인됐다.

전체생존기간(OS, Overall Survival)의 경우 버제니오 투여군(2,808명 중 208명)에서 대조군(2,829명 중 234명) 대비 더 적은 사망자가 관찰됐다. 또한 대조군인 내분비요법 단독 투여군(n=269)은 버제니오 투여군(n=138)과 비교해 질병이 전이된 환자가 거의 두 배 가까이 많았다.

안전성 부분에서는 기존에 밝혀진 버제니오의 안전성 프로파일과 일관됐다. 가장 빈도가 높은 이상반응으로는 버제니오+내분비요법 투여군에서 설사, 호중구감소증, 피로, 내분비요법 단독 투여군에서 관절통, 열감, 피로였다. 가장 흔한 3-4등급의 이상반응은 버제니오 투여군에서 호중구감소증, 백혈구감소증 및 설사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에서는 관절통, 호중구감소증 및 ALT 증가로 나타났다.

버제니오 용량 감소가 버제니오의 임상적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도 발표됐다.

릴리의 데이비드 하이만(David Hyman) 최고의료책임자(Chief Medical Officer)는 “monarchE에서 2년의 치료 기간을 통해 성취한 버제니오의 재발 관련 임상적 유효성은 HR+/HER2- 림프절 양성 재발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의 치료를 위해 승인된 유일한 CDK4/6 억제제인 버제니오의 표준 치료 요법으로의 가치를 강화한다”며, “수술 후 버제니오 병용 요법의 결과가 5년 시점 기준치에도 도달했다는 사실은 조기 유방암의 치료 목적인 암이 없는 상태 유지를 성취하기 위해 강화된 치료 요법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더 큰 확신을 제공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버제니오는 지난 2022년 HR+/HER2-, 림프절 양성의 재발 위험이 높은 조기 유방암이 있는 성인 환자의 보조 치료로써 내분비요법과의 병용 치료제로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 2019년에는는 HR+/HER2-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이 있는 폐경 후 여성의 치료를 위한 일차 내분비 기반 요법으로써 아로마타제 억제제와 병용, 내분비요법 후 질병이 진행된 HR+/HER2-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여성의 치료에 풀베스트란트 병용 치료제로 허가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