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된 들쥐 배설물 호흡기로 감염…발열‧신부전 심하면 사망
가을의 끝자락, 붉게 단풍 물든 산과 들로 늦가을을 즐기려는 나들이객이 많다. 한편 이 시기는 자칫 ‘신증후군 출혈열’에 감염될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신증후군 출혈열은 쯔쯔가무시병, 렙토스피라증과 함께 가을철에 유행하는 대표 발열성 질환이다. 신증후군 출혈열은 흔히 ‘유행성 출혈열’ 또는 ‘한국형 출혈열’로 불리기도 한다.
원인 바이러스는 ‘한타 바이러스’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 주로 들쥐 배설물이 건조되면서 나온 바이러스가 먼지와 함께 떠다니다 호흡기를 통해 감염된다. 또 상처 난 피부와 눈‧코‧ 입 등에 직접 접촉해 감염되기도 한다. 주요 증상으로 발열과 출혈소견‧신부전이다.
신증후군 출혈열은 연중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10~12월에 주로 생겨 가을걷이에 나서는 농부나 야외활동이 잦은 군인들에게 많이 발병한다. 최근에는 낚시‧캠핑 인구가 늘면서 감염 위험이 더 커지고 있다. 질병관리청 통계 자료를 보면, 신증후군 출혈열은 세계적으로 매해 약 15만 명에게 발생할 정도로 공중보건학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한타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보통 2~3주 잠복기를 거쳐 ▲발열기 ▲저혈압기 ▲소변감소기 ▲이뇨기 ▲회복기 5단계 임상 경과를 보인다. 신증후군 출혈열과 관련된 사망은 보통 저혈압기와 소변감소기에 많이 생긴다. 사망률은 약 5~15%로 알려져 있다.
발열기 주요 증상은 발열과 오한‧근육통, 얼굴과 몸통에 발진, 결막 충혈 등이 나타난다. 저혈압기에서 중증 감염으로 발현되면 정신 착란과 섬망 등 쇼크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쇼크에서 회복되지 못하면 사망할 수 있다.
이후 소변량이 줄면서 신부전 증상이 발생하는 소변감소기를 거친다. 이 시기 신부전과 출혈 증상이 악화하면 사망 가능성은 커진다. 실제 전체 사망환자의 절반 정도가 이 시기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신증후군 출혈열의 원인 바이러스를 없애는 효과적인 치료법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만큼 한타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치료 자체가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신증후군 출혈열은 신속한 진단과 각 병기에 맞는 대증적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망 가능성이 큰 소변감소기에 신장 기능이 떨어질 수 있어 수분 공급과 전해질 균형 유지에 노력해야 한다. 신장 기능이 현저히 떨어질 때는 투석 등 신대체요법을 시행해야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고려대안산병원 감염내과 석혜리 교수는 “신증후군 출혈열은 10~12월 사이 특히 유행 양상을 보이는 만큼 이 시기 유행 지역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가급적 피해야 한다. 또 풀밭 위에 옷을 놓거나 눕는 것을 삼가고, 야외 활동 후에는 샤워와 세탁을 통해 예방해야 한다”며 “쯔쯔가무시병, 렙토스피라증과 달리 신증후군 출혈열은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한 만큼 야외 활동이 많은 군인‧농부와 골프장 인부 등은 유행 시기 약 1개월 전에는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