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출산 여성, 췌장 β세포 더 노화돼 당뇨병 발병 위험↑
당뇨병 막기 위해 다출산 여성은 출산 뒤 체중감량 중요

당뇨병은 췌장β세포의 기능 상실로 인해 인슐린 생산이 잘 되지 않아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는 만성 질환이다. 보통 유전적 요인이나 비만, 운동 부족 등 환경적인 요인에 기인하는데, 환경적 요인 중 하나로 다출산이 꼽힌다. 

하지만 다출산에 기인한 당뇨병 발병 위험은 출산 뒤 체중감량으로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 국내 의료진의 연구를 통해 확인되면서 관심이 모아진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이 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문준호·장학철 교수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이준엽 교수 연구팀이 임신-출산에 따른 산모의 췌장β세포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임신성 당뇨병이나 임신성 포도당 내성을 진단받은 455명을 대상으로 4년 동안 다출산(4회 이상, 79명)과 일반 출산(1~3회, 376명) 여성의 몸무게, 췌장β세포, 인슐린 민감성 지수 등을 비교·분석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 다출산을 하더라도 4년 동안 약 몸무게 2.5kg정도 감량한다면 췌장β세포의 기능이 향상되고 인슐린 민감성 지수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출산 후 체중이 증가한 여성의 췌장β세포 기능은 30%나 감소했다.

다출산 여성과 일반 출산 여성 비교 연구에서는 다출산 여성의 췌장β세포 기능과 인슐린 만감성은 일반 출산 여성 보다 감소됐다.

그래픽 제공=분당서울대병원
그래픽 제공=분당서울대병원

또한 다출산 여성의 췌장β세포를 분석한 결과, 췌장β세포가 임신과 출산이라는 스트레스를 반복적으로 겪으면서 증식 능력을 잃고 텔로미어 길이가 짧아지는 노화가 진행된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다출산 여성은 일반 출산 여성에 비해 췌장β세포의 기능이 떨어질 위험성이 높지만, 체중을 감량할 경우 당뇨병 위험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출산 후 체중감량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문준호 교수는 “다출산 여성의 췌장β세포는 여러 번 팽창 및 축소하는 과정에서 점차 노화되고 인슐린 분비 능력이 감소한다”며 “췌장β세포의 기능 개선 및 당뇨병을 막기 위해 출산 후 적극적인 체중감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2023년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에서는 당뇨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되는 식이요법, 운동, 수유 등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권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