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출산 여성, 췌장 β세포 더 노화돼 당뇨병 발병 위험↑
당뇨병 막기 위해 다출산 여성은 출산 뒤 체중감량 중요
당뇨병은 췌장β세포의 기능 상실로 인해 인슐린 생산이 잘 되지 않아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는 만성 질환이다. 보통 유전적 요인이나 비만, 운동 부족 등 환경적인 요인에 기인하는데, 환경적 요인 중 하나로 다출산이 꼽힌다.
하지만 다출산에 기인한 당뇨병 발병 위험은 출산 뒤 체중감량으로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 국내 의료진의 연구를 통해 확인되면서 관심이 모아진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이 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문준호·장학철 교수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이준엽 교수 연구팀이 임신-출산에 따른 산모의 췌장β세포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임신성 당뇨병이나 임신성 포도당 내성을 진단받은 455명을 대상으로 4년 동안 다출산(4회 이상, 79명)과 일반 출산(1~3회, 376명) 여성의 몸무게, 췌장β세포, 인슐린 민감성 지수 등을 비교·분석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 다출산을 하더라도 4년 동안 약 몸무게 2.5kg정도 감량한다면 췌장β세포의 기능이 향상되고 인슐린 민감성 지수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출산 후 체중이 증가한 여성의 췌장β세포 기능은 30%나 감소했다.
다출산 여성과 일반 출산 여성 비교 연구에서는 다출산 여성의 췌장β세포 기능과 인슐린 만감성은 일반 출산 여성 보다 감소됐다.
또한 다출산 여성의 췌장β세포를 분석한 결과, 췌장β세포가 임신과 출산이라는 스트레스를 반복적으로 겪으면서 증식 능력을 잃고 텔로미어 길이가 짧아지는 노화가 진행된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다출산 여성은 일반 출산 여성에 비해 췌장β세포의 기능이 떨어질 위험성이 높지만, 체중을 감량할 경우 당뇨병 위험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출산 후 체중감량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문준호 교수는 “다출산 여성의 췌장β세포는 여러 번 팽창 및 축소하는 과정에서 점차 노화되고 인슐린 분비 능력이 감소한다”며 “췌장β세포의 기능 개선 및 당뇨병을 막기 위해 출산 후 적극적인 체중감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2023년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에서는 당뇨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되는 식이요법, 운동, 수유 등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권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政, 필수의약품에 '품귀 해열제' 등 소아용 약 더하고 70개 약 뺐다
- 급증하고 있는 궤양성 대장염…고용량 5-ASA 병용요법이 치료 핵심
- 당뇨병·이상지혈증이 부른 피떡?…유전자이상으로 피떡 과형성되기도
- "임신 중 코로나19 감염, 소아 아토피 위험 높인다"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환자↑ 소아진료 현장 “매일 살얼음판”
- 전신농포건선·푹스디스트로피 등 83개 질환 희귀질환으로 지정
- 극강의 피부건조에 효과 높은 '창상피복재'…아토피에 만능은 아니다
-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 중증 천식 악화 위험 4.3% 낮춰
- 생물학적제제 '코센틱스', 강직성 척추염에서 1차 치료제로 급여 진입
- "키프롤리스 기반 KRd 요법, 한국 다발골수종 환자도 일관된 혜택"
- [칼럼] 차세대 항암제 ‘항체약물접합체’가 지닌 숙제
- 팔꿈치 바깥쪽이 아프다?…초기 치료 중요한 '테니스 엘보'일수도
- 잠 자는 법 잃어버린 듯한 '급성 불면증', 만성화되기 전 치료를
- [BOOK소리] 전문 의료진이 알려주는 '임신당뇨병 슬기로운 관리법'
- 政, 신속·병합검토제도 등 첨단재생의료 심의 절차 개선 논의
- 코로나 기간 늘어난 '항생제 내성'…"다시 되돌리려면 충분한 인력 필요"
- 政, 중증정신질환자 치료·관리 집중…“사법입원제도 지속 논의”
- 1시간 넘는 출퇴근 시간이 내 삶에 미치는 영향…우울증 가능성 UP
- "알츠하이머 환자 수면시간 길어지면 증상 악화 신호"
- [BOOK소리] 정희원 교수에게 듣는 '노화 시계' 늦추는 22가지 방법
- 국내 의료진, '흉강경 폐절제술 뒤 나타나는 통증' 획기적 치료법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