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뇌전증연맹, 5~20㎎/L 권고…국내 의료진, 4㎎/L로 효과
"치료 효과 불충분 시 증량 보다 새로운 항경련제 추가 권장"
국내 의료진이 연구를 통해 뇌전증치료제 ‘토피라메이트’에 대한 최적의 혈중농도로 4㎎/L를 제시했다. 이는 세계뇌전증연맹의 권고 혈중농도보다 최대 5분의 1 낮은 수치다.
또한 혈중농도가 6.5㎎/L 이상일 때 토피라메이트의 부작용 위험이 증가한다며 토피라메이트만으로 뇌전증 치료 효과가 불충분하면 약제를 증량하기보다 다른 항경련제를 병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서울대병원은 신경과 주건·이상건 교수와 임상약리학과 장인진·유경상 교수 공동 연구팀이 2017~2022년 서울대병원에 방문한 389명의 뇌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토피라메이트의 적정 혈중농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21일 발표했다.
뇌전증은 원인 없는 발작(경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세계적으로 약 5,000만명, 국내에서는 약 36만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보편적인 치료법은 항경련제를 복용하는 것이다.
토피라메이트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2세대 항경련제다. 하지만 고용량을 복용하면 인지기능 저하, 어지럼증, 체중 감소, 실조증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사용 시 뇌전증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세계뇌전증연맹은 뇌전증 치료를 위한 토피라메이트 혈중농도를 ‘5~20㎎/L’로 권고하는데, 권고에 맞춰 사용해도 부작용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아 적정 혈중농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했다.
연구팀은 토피라메이트를 처방받은 뇌전증 환자 389명을 대상으로 토피라메이트 혈중농도와 항경련 효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의 94.4%(371명)에서 경련 증상이 절반 이상 감소했다. 이처럼 충분한 항경련 효과를 보인 환자들의 토피라메이트 평균 혈중농도는 4㎎/L였다. 즉, 토피라메이트 기존 권고농도(5~20㎎/L)의 5분의 1 수준인 ‘4㎎/L’만으로도 충분한 경련 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무리한 증량은 불필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반면 토피라메이트 혈중농도가 6.5㎎/L 이상일 경우 ‘실조증(ataxia)’ 부작용 발생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실조증은 신체 부위 간 상호작용 장애로 인해 동작이 서투르고 섬세한 움직임을 할 수 없는 신경학적 증상이다.
추가로 연구팀은 토피라메이트 단일 약제만 처방받고 충분한 항경련 효과를 보인 환자를 ‘무경련군(39명)’과 견딜 수 있는 수준의 잔여 경련이 있는 ‘내약성 경련군(13명)’으로 나눠 올해 4월까지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무경련군과 내약성 경련군에서 약 7.5년 이내에 3개 이상의 항경련제를 처방받는 환자 비율은 각각 7.7%, 54.8%로, 내약성 경련군이 크게 높았다. 내약성 경련군은 약물 저항성이 큰 난치성 뇌전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혈중농도 4㎎/L로 조절되지 않는 뇌전증 환자의 경우, 토피라메이트를 증량시키기보다 새로운 뇌전증 약제를 추가하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경련을 조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건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많은 뇌전증 환자가 사용하고 있는 토피라메이트 약제의 무리한 증량의 불필요함을 확인했다”며 “토피라메이트를 혈중농도 6.5㎎/L 미만으로 사용 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은 향후 새로운 뇌전증 진료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최선을 다하라'에 대한 오해…내 능력의 100% 아닌 80%가 '최선'이다
-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위암 1차와 조기 폐암 치료 적응증 추가
- 소아 뇌전증 완치?…소청과醫 "광고 한의사 면허취소 요청할 것"
- '타그리소'·'렉라자',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에 급여…'코셀루고' 건보 적용
- 양성자펌프 억제제 장기간 복용 시 식도암·췌장암 등에 걸리기 쉬어
- "임신성 두통, 출산 후 뇌졸중 발생 위험 높인다"
- [칼럼] 미충족 수요 높은 소아 전신 홍반 루푸스 치료 환경
- 직장 내 괴롭힘, 여성보다 남성 정신건강에 더 큰 악영향 미쳐
- 류마티스관절염, 폐암 위험 49%↑…"류마티스관절염 진단 시 금연을"
- 희귀 심장병 신약 '빈다맥스'의 조기 사용, "사회적 비용 절감에 효율적"
- 급격히 증가하는 청소년 고도비만…단독 질병코드로 '비만' 급여돼야
- 재발성 대장암은 대부분 수술 불가?…"수술 적응증 꽤 넓어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