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병원 성형외과 송승한 교수 연구팀

국내 의료진이 안검하수 등 안질환의 중요 진단·예후 지표인 눈꺼풀각막반사거리-1(Marginal Reflex Distance-1, MRD-1)을 인공지능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해 관심이 모아진다. 

사진 제공=충남대병원
사진 제공=충남대병원

충남대병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성형외과 송승한 교수와 송보근 전공의 연구팀의 논문 '인공지능을 이용한 눈꺼풀각막반사거리-1(Marginal Reflex Distance-1) 측정'이 임상의학학술지(Journal of Clinical Medicine, JCM) 최근호에 게재됐다고 22일 밝혔다.

MRD-1은 동공 중심에서 상안검연까지의 거리이며 안검하수 등의 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참고되는 중요한 지표이다. 기존에는 의료진이 직접 환자와 대면해 MRD-1을 측정해왔다.

그러나 연구팀의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을 이용하면 MRD-1을 보다 객관적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송승한 교수는 “눈꺼풀각막반사거리는 안검하수의 정도 및 수술 전후의 예후 및 결과 예측을 위한 유용한 검사이지만 아직 이를 위한 측정 혹은 해석에 대한 표준화가 부족하다”며 “연구를 통해 위와 같은 제한점들을 개선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어 “후속 연구를 통해 눈꺼풀각막반사거리 뿐만 아니라 안와주변 주요수치들에 대해 인공지능을 통한 객관적 측정 및 표준화 정립에 기여해 우리 병원을 찾아오는 환자분들의 치료 후 결과가 좋아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