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은 상태에서 면봉 자극으로 상처‧감염…두통‧어지럼증 등 일으켜

만성중이염은 귀는 물론 안면신경 마비 등 여러 합병증을 불러온다. 만성중이염이 있으면 청력장애와 함께 귀에서 고름이 나오는 이루가 생기는 등 삶의 질에 커다란 어려움을 겪는다.

여기에 제대로 치료받지 않으면 어지럼증과 귀통증 또는 두통이 나타난다. 염증 물질이 중이 밖으로 침범했을 가능성이 있어 심하면 사망까지 이를 수 있어 합병증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보통 중이염은 병원 치료를 받으면 2~4주 내 증상이 좋아진다. 이에 비해 중이염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하면 만성중이염으로 진단한다, 성인들에게 나타나는 만성중이염은 이관 기능장애를 보인다.

소아에게 중이염은 흔한 질환으로 간과하기 쉽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 자료를 보면, 전체 중이염 환자 가운데 1~9세가 45% 정도를 차지한다. 소아의 90% 이상은 최소 한번 이상 중이염을 앓고, 70% 이상의 어린이는 3회 이상 중이염을 앓는다.

성인도 급성중이염이 반복 생긴다면 만성중이염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급성중이염은 귀의 심한 통증과 열이 특성이다. 청각 기능 이상으로 난청이나 이명이 함께 오기도 한다.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쳐 만성중이염이 생겼다면 여러 귀 질환과 함께 안면부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만성중이염의 주요 증상이 귀에서 염증 물질이 지속해 나오는 것이다. 중이에 발생한 염증 물질이 천공된 고막을 통해 흘러나온다. 증상이 더 악화하면, 잠을 자고 일어났을 때 베개가 젖을 정도다. 중이 인근 뼈가 녹으면 청력 저하가 생긴다.

중이는 얇은 뼈를 경계로 뇌와 인접해 있고, 안면신경이 주행하는 기관이다. 만성중이염 염증이 악화하면 뼈침식으로 인해 만성두통이나 안면신경마비 같은 합병증이 생긴다. 더 심하면 뇌수막염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만성중이염을 방치하면 염증이 달팽이관이나 전정기관이 있는 내이로 퍼지기도 한다. 염증이 내이까지 번지면 청신경 손상으로 이명증이 생기기도 한다. 내이는 신체 평형을 담당하는 만큼 어지럼증을 겪을 수 있다.

만성중이염 병력 또는 고막소견과 청력방사선검사 등으로 진단한다. 청력검사를 통해 소리 전달과 청취 신경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방사선검사로 귀 염증 정도를 평가한다. 정확한 병변을 확인하기 위해 CT 검사를 하기도 한다.

만성중이염은 약물과 수술 치료로 한다. 약물치료는 염증 발생을 억제해 진물이 나오는 것을 줄이고,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합병증이 의심되거나 약물로 조절되지 않으면 수술을 고려한다. 약물로 조절돼도 재발 방지와 합병증 예방을 위한 근본 치료로 수술이 필요하다.

만성중이염 예방을 위해 유소아들은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감기에 걸렸으면 귀 검사를 반드시 하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급성중이염을 신속하게 진단치료하고, 만성중이염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머리를 감거나 물놀이 후 귀에 물이 들어갔다면 함부로 면봉으로 귀를 닦아내지 않아야 한다.

가천대 길병원 이비인후과 선우웅상 교수는 귀가 젖은 상태에서 면봉에 의한 자극이 심하면 상처가 생기고, 이물질로 감염될 수 있다. 겨울철 건조한 날씨에 따뜻한 음료를 충분히 마셔 코점막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평소 햇볕을 충분히 쬐고, 충분한 수면으로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