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시학회는 오는 27일 서울대병원 CJ홀에서 근시 관련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예방 전략에 대해 논의하는 ‘창립 기념 제1회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한국근시학회는 국내에 부재했던 근시 관련 질환 전반에 대한 통합적 연구 및 모든 안과 세부분야가 참여하는 대규모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작년 8월 창립한 학회다. 근시로 인한 시력 장애와 실명 예방이 목표다.
최근 세계적으로 근시 유병률이 증가하며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 절반에게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근시 발생이 급증하는 동아시아에서도 가장 빠른 증가 추세를 보이는데, 이미 국내 청년 10명 중 8~9명은 근시에 해당하고 그중 1~2명은 고도 근시다.
근시는 황반변성, 망막박리, 녹내장, 백내장 등 합병증을 유발하고 실명과 시각장애로까지 이를 수 있기에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다.
금번 심포지엄은 ‘근시의 시대: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Myopia era: Where are we now?)’라는 슬로건 하에 ▲근시의 역학 및 위험인자 ▲근시조절 ▲근시 관련 실명질환 ▲인공지능연구 이상 4가지 세션으로 구성됐다.
또한 해외 전문가의 강연으로 구성된 ‘키노트 세션’도 마련됐다. 일본 근시학회 회장인 쿄코 오노 마츠이 교수(도쿄의과치과대학)가 ‘병적 근시’를 주제로, 허밍광 교수(홍콩이공대학)가 ‘반복적 저수준 적색광 치료’를 주제로 각각 강연을 진행한다.
근시학회 박기호 회장(서울대병원 안과 교수)은 “근시 진행의 위험인자를 파악해 근시로 인한 실명과 시력장애를 예방하는 것은 안과의사 모두의 숙제”라며 “정부 지원 하에 근시 연구를 국가적 사업으로 진행 중인 싱가포르·일본·대만 등의 사례처럼, 학회가 구심점이 돼 국제 유관학회와 학술교류 및 공동연구를 추진해 근시 관련 이슈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소아희귀정형외과질환 명의 송해룡 교수, 대찬병원서 진료 시작
- 입원 시 전문적 영양공급, '코로나19 중증 환자 사망률' 40% 낮췄다
- ‘급성 심장질환’ 돌연사 막으려면…평소 운동량에 최대 60% 적당
- 국산 항암신약 '렉라자', 국내 낮은 폐암 치료 성적 반전시키나
- 자해 後 자살로 이어진 환자, 이런 특징 보인다
- ‘안받고‧덜받고’…국림암센터 허술한 미수 진료비 관리 적발
- [신년특집] 고령 의료이용 환자 증가 속도, 사회 고령화보다 훨씬 빨라
- 국내 가능한 암치료 '횟수' 규제로 해외로 내몰린 환우들의 아우성
- 오미크론 감염시 형성된 기억-T세포가 변이주에도 강한 면역반응
- 커피로 두통 다스릴 수 있다?…하루이틀 아닌 두통엔 오히려 '역효과'
- ‘나의 편두통 해방일지’…일상을 뒤흔드는 편두통 탈출기
- 미용실‧대중목욕탕에서 면봉 쓰면 안 좋은 이유…‘만성중이염’
- 조기 진단·치료 중요한 희귀질환인데…진단방랑 평균 13년 '고셔병'
- 항암제 선별 위한 것인데…'직장암 유전자검사'에 대한 오해와 진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