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안암병원 혈액내과 박용 교수에게 듣는 'CAR-T치료'
꿈의 항암제라 불리는 CAR-T치료는 현재 더 이상 치료방법이 없는 암 환자에게 적용되는 치료법이다. 이런 막다른 길에 몰린 암 환자에게 CAR-T치료를 했을 때 현재까지의 암 치료 성적은 얼마나 될까?
고대안암병원 혈액내과 박용 교수(CAR-T항암치료센터장)는 유튜브 채널 '고대병원'에서 "최소한 지금 나오는 데이터는 2/3 정도, 절반 이상되는 암 환자들이 완치가 되는 것으로 나와 있다"고 말했다.
더는 치료법이 없는 암 환자에게 CAR-T치료가 이같이 높은 효과를 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우리 몸에서 암세포를 잘 없앨 수 있는 T세포를 뽑아내 암세포를 잘 찾아낼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한 다음 몸 속에 넣어주는 까닭이다.
박용 교수는 "면역세포는 크게 B세포와 T세포로 나눠지는데 각각의 역할이 다 있다. 암세포를 없애는데 있어서 T세포가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암 환자는 암이 우리 몸에서 어느 정도 발전을 한 상태로 몸에 T세포가 어떤 이유에서든지 간에 암을 없앨 수 있는 능력이 저하돼 있거나 소실돼 있는 상태"라고 짚었다.
이어 박 교수는 " CAR-T치료는 T세포를 밖으로 끄집어내 거기에 암세포를 잘 인지할 수 있게 유전자 조작을 한 다음에 조작된 T세포를 다시 몸에 집어넣어서 암세포를 없애는 과정을 유도하는 치료법"이라며 "일반적으로 우리가 병원에서 하는 여러가지 투약이나 수술과는 조금 다른 개념의 치료법"이라고 설명했다.
CAR-T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의 몸 안에 돌아다니는 백혈구 중 T세포 관련된 부분을 따로 뽑아야 한다. 이후 그 백혈구를 공장에 보내면 공장에서 백혈구의 유전자 조작을 통해 암세로를 잘 식별하고, 암세포를 더 강도 높게 파괴하는 기능이 탑재된다.
박용 교수는 "암세포를 잘 인지할 수 있는 수용체를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라고 하는데, 유전자 조작을 통해 T세포에 심어주고 잘 심어진 T세포를 분리해서 증폭을 시킨 다음에 CAR-T세포를 다시 병원에 보내주면 우리가 그것을 받아서 환자의 몸 안에 주입하는 단계로 치료가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CAR-T치료는 한 번의 투여로 최소 2/3 정도의 암 환자들을 완치시키는 치료법으로, 오랜 시간 들이지 않고 짧은 기간 안에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꼽힌다. 하지만 CAR-T치료는 현재 모든 암에 적용되지는 않는다.
박 교수는 " CAR-T치료가 효과 있는 암종이 정해져 있다"며 "B세포 기원의 림프종들이 치료 대상이 주로 되고, 림프종이 아니더라도 B세포 기원의 림프구성 백혈병들이 CAR-T치료에 해당이 된다. 성인에서는 다발골수종이 향후 굉장히 많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10~20대 절반 이상, 엽산 부족…여성보다 남성이 엽산결핍 더 많아
- 전공의 8,816명 사직서 제출…의대생 7,620명 휴학 신청
- 갓 태어난 신생아의 울음소리로 아이의 건강 상태 알 수 있다?
- 첫 TV토론서 평행선 달린 醫·政…의사 “절대 수 부족” vs “배분 문제”
- 절제불가능 3기 EGFRm 비소세포폐암에서의 ‘타그리소’ 효과
- 전공의에서 전임의로 '연쇄사직' 현실화되나
- 전공의 없는 병원들…진료 축소에 입원환자 퇴원도 빨라져
- 파프저해제 '제줄라-린파자', BRCA 변이 난소암서 효과 차이 없어
- 인하대병원, 더 안전하고 침습 최소화한 갑상선암 수술법 개발에 성공
- 엔허투 이은 TROP2 표적 'ADC 폐암 신약', 美 FDA 허가 심사 착수
- 政 "19일 이미 전공의 6,415명 사직서 제출…1,630명 근무지 이탈"
- [칼럼] 진행성 신장암의 장기생존을 위한 필수 치료-면역항암제
- 요즘 소변이 부쩍 자주 마렵다면…‘자궁근종’ 검사 받아야
- 더 많이, 더 심각하게 뚱뚱해진 한국인…'초고도비만' 유병률도 1% 돌파
- 10~20대 고도근시를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 이유…‘망막질환’ 막기 위해
- 해외원정치료 유도 '국내 루타테라 치료 횟수 제한 규제' 철폐 "청신호"
- "의사들, 파업 아닌 '포기'하고 있다"…의협 비대위, 대국민 호소문 발표
- ‘전공의 떠난’ 응급실 긴장감↑…政 대응에 분노하는 의사들
- 대상포진 백신 '싱그릭스', 눈대상포진 환자에겐 재발 위험 높여
- 출산의 고통 버금가는 '요로결석'…국물 찾는 겨울에도 조심해야
- 의료공백 현실에도…政 "대화 가능하지만 ‘연 2,000명 증원’ 수정 불가"
- 多적응증 면역항암제 급여, ‘적응증 기반 약가 결정제’로 물꼬 틀까
- "수술·치료 연기될까 조마조마"…암·희귀 중증질환자들, 사태 해결 촉구
- '절치부심' 머크, 폐암 표적항암 신약 '텝메코' 급여 재도전 나서
- 면역력 낮은 환자 위협 'CRE감염'…자비쎄프타 급여로 치료환경 개선
- 칼 빼든 政 "집단행동 주동자 ‘구속수사’…복귀 거부 전공의 ‘기소’"
- 노안으로 안 보이던 신문이 갑자기 잘 보일 때…“이것” 의심해야
- 2월 22일 '라돈의 날'…폐암 유발 가능한 '라돈', 생활 속 노출 최소화 방법
- 내 몸과 마음을 갉아먹는 '불안'…규칙적 생활습관으로 극복할 수 있다
- 충북대병원 충북지역암센터, 간암의 날 건강강좌 개최
- 늘어나는 사직·근무지 이탈 전공의에 수술·입원 지연 잇달아
- 병원 떠난 전공의들 "정부가 요구안 수용하면 병원 복귀"
- 政 “전공의 요구 많은 부분 수용 가능…단, 연 2,000명 증원 빼고”
- 소아청소년암 중 발생률 1위…'소아청소년 백혈병' 올댓가이드
- 내 아이 작은 간에 '담즙 정체'?…간이식 필요한 유전성희귀질환일수도
- 대변 봤는데 기름 둥둥 뜬다?…췌장암 위험 높은 '만성췌장염' 신호탄
- 유방암 환자, 고기 먹으면 암 급격히 성장?…유방암에 대한 오해와 진실
- 간암 예방 효과 검증된 '단 하나의 음식'…하루 2~3잔 '원두커피'의 효과
- 암치료 못지 않게 스트레스 관리 중요!…스트레스 따라 재발률 차이 커
- 폐암 탓에 얼굴·팔 붓고 숨 차다?…공격적 성격 '소세포폐암' 가능성 높아
- 면역항암제 3차치료 뒤 간암 더 커졌다!…다음 치료로 뭘 해볼 수 있나?
- 당뇨병에 다발골수종!…혈액암 치료 중엔 혈당 조절 더 중요한 이유있다
- 대장암 있으면 커피마저 금기?…'잘못된 대장암 음식 속설' 총정리
- 암치료 끝났으니, 술 마셔도 괜찮다?…암환자 음주에 대한 오해와 진실
- 건강검진 통해 발견한 폐결절, 폐암 같은 악성암일 가능성 얼마나 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