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성 있는 대화 원해…만남 등 비공개 외 보호책 없어"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이 5일 오전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와 대화에 나서는 사람들을 욕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했다. 사진 제공=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이 5일 오전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와 대화에 나서는 사람들을 욕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했다. 사진 제공=보건복지부

윤석열 대통령과 대화에 나선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박단 회장에 대한 탄핵 움직임이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의료계에 ‘정부와 대화에 나서는 사람들을 욕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했다.

의과대학 정원 연 2,000명 증원에 대해서는 아직 의료계 대안이 제시되지 않아 기존 정부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했다.

정부는 5일 오전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브리핑에 나선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의료계와 대화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했다.

박 차관은 “(윤석열 대통령과 대화한) 박단 회장에 대한 의료계 내부 비판 목소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런 행동은 대화에 나서고자 하고 뭔가 문제를 해결하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축시키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누가 잘했냐, 잘못했냐를 따지는 대화의 자리가 아니다. 대화는 공감을 넓혀가는 자리고 서로 의견과 방향이 다르더라도 대화를 나누다 보면 공감의 영역이 생긴다”며 “그걸 통해 문제 해결의 발단을 발견할 수도 있는 것”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의료계 내에서 대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분들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자제해주길 바란다”며 “정부는 진정성을 갖고 대화하길 원하고 의료계도 가급적이면 의견을 통일해 대화의 자리에 나와 있는 분들을 통해 의견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민주적인 자세가 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의과대학 정원 연 2,000명 증원에 대해서는 아직 의료계에서 과학적 근거에 따른 통일된 의견을 제시하지 않아 기존 방침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밝혔다.

정부와 대화에 나서는 의료계 인사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비공개’ 외 없다는 말도 했다.

박 차관은 “(정부와 대화에 나서는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은 (대화 추진 여부나 대화 내용을) 공개하지 않는 방법뿐”이라며 “공개되는 순간 안에서 비판을 받으니 공개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들에게 (대화 내용을) 자세히 알리는 것은 좋지만 이런 여건을 감안해 지금 할 수 있는 방법은 대화를 공개하지 않는 방법밖에는 없다”며 “정부에서 의사단체와 대화를 추진 중이지만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상호 간 공개하지 않도록 협의돼 있다”고도 했다.

한편 박 차관은 집단사직 전공의 행정처분에 대해서는 “유연한 행정처분에 대한 논의에 대해 추가로 더 할 말이 없다. 현재 처분 보류상태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현 상태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