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권익협의회, 췌장암 환자 189명 설문조사 결과 7일 발표
항암·수술 지연에 신환 진료 거부·외래 취소·전원 종용 등 다양

정부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며 큰 혼란 없이 진료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지만, 실제 암환자들이 제대로 정상진료를 보는 게 쉽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정부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며 큰 혼란 없이 진료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지만, 실제 암환자들이 제대로 정상진료를 보는 게 쉽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정부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며 큰 혼란 없이 진료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지만, 실제 암환자들이 제대로 정상진료를 보는 것이 쉽지 않다는 사실이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또 다시 확인됐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가 한국췌장암환우회에서 췌장암 환자 189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24일부터 28일까지 진행한 자체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에서 정상 진료가 이뤄졌다는 응답은 66건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암환자권익협의회가 발표한 피해 유형(중복 집계)에는 ▲외래 지연(34건) ▲입원실 축소로 인한 입원 지연(22건) ▲신환 진료 거부(23건) ▲입원 항암에서 가방 항암으로 변경(22건) ▲항암 지연(22건) ▲전원 종용(13건) ▲외래 취소(10건) ▲수술 지연(6건) ▲수술 취소(2건) 등이 포함됐다. 

암환자권익협의회는 "암 환자들은 공포의 5월을 보내고 있다"며 “정부와 의료계는 각각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비상체계를 통해 환자들이 큰 혼란이 없도록 환자들에게 최선을 다해 의료서비스에 불편이 없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정작 환자들의 고통과 신음은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암환자권익협의회는 정부에 환자 피해 사례를 전수조사하고 치료 대책을 논의할 것을, 주 1회 휴진을 발표한 일부 상급종합병원 교수들에게는 휴진 발표를 철회할 것으로 촉구했다.

암환자권익협의회는 “의정 대치 국면의 봉합이 늦어질수록 공포에 떠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를 배려하지 않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달 내 어떤 형태로든 의료체계가 정상적으로 가동되길 소망한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