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김기동 교수, 다양한 치료 전략 효과 분석
호르몬 약물치료, 용량간 치료효과 차이 없는 것으로 확인
종양 사라진 후 임신 시도 전까지의 유지치료, 재발률 낮춰
자궁내막암 전단계 병변인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의 호르몬 약물치료에 용량간 치료 효과 차이가 없어 저용량으로도 충분히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이 병원 산부인과 김기동 교수와 고대안산병원 산부인과 김남경 교수 연구팀이 국내 산부인과 종양 임상연구 네트워크인 대한부인종양연구회의 연구계획 승인을 받아 2011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 5개 기관에서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으로 호르몬 치료를 받은 124명의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한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고 8일 밝혔다.
자궁내막증식증은 에스트로겐에 반대 작용을 하는 프로게스테론 없이 에스트로겐에만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노출되면서 자궁내막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두꺼워진 상태로, 비정상세포가 존재하는 정도와 종양이 암으로 발전될 가능성에 따라 정형, 비정형으로 분류한다. 비정형은 정형에 비해 자궁내막암이 동반돼 있거나 향후 암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의 가장 근본적인 치료법은 자궁절제술이지만 임신을 원하는 여성은 호르몬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호르몬 치료에는 약물치료와 자궁 내 삽입 시스템(LNG-IUD) 등이 있다. 그러나 약물치료의 경우 아직 최적 용량에 대한 지침이 확립되지 않아 다양한 용량이 사용되고 있는데 저용량은 치료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 고용량은 혈전 등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연구팀은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치료 전략을 비교하는 대규모 후향적 연구를 실시해 표준 치료 방법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 결과, 저용량과 고용량의 호르몬 약물치료간 치료 효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부작용도 모두 매우 적었다. 또한, 종양이 사라진 후 임신 시도를 할 때까지 저용량의 약물이나 자궁 내 시스템을 사용해 유지치료를 하는 게 재발률을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기동 교수는 “이번 연구는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 환자에 대한 표준화된 치료 지침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은 자궁내막암이 동반돼 있을 가능성이 높은 질환이므로 전문가와 상의해 적절한 치료법을 결정해야 하며 종양이 사라진 후에도 임신 시도시까지 유지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한독소비 출범에 카티치료 후처치 약제 '키너렛' 국내 도입 기대감 솔솔
- 정부, 큰 혼란 없다지만…암권익협 "암환자들 공포의 5월 보내고 있다"
- 치료제 급여화에도 여전히 미충족 수요 큰 희귀질환 '시신경 척수염'
- 그레이브스병에 ‘방사성요오드 치료’, 암 발생과 무관
- 대장암을 예방‧조기 치료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바로 “이것”
- 피부의 검은줄, 피부암?…동남아여행 뒤라면 '식물성 광피부염' 의심을
- [헬스로그 명의] 진단·치료·관리 쉽지 않은 희귀난치통증질환 'CRPS'
- 조기폐경 여성, 심장 이완기장애와 심혈관질환 위험성 증가
- 난소암‧자궁경부암‧자궁내막암…여성 건강 위협하는 3대 부인암
- [칼럼] 조용한 살인자로 악명 높은 '난소암'…치료성적 바뀌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