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어지럼증 원인 ‘기립성 저혈압’ 심하면 실신

기립성 저혈압은 실신성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대표 질환이다. 누워 있을 때는 정상 혈압이다가 앉거나 일어난 상태에서 혈압이 크게 떨어져 뇌 혈류 공급이 일시 감소한다. 기립성 저혈압으로 두통과 어지럼증피로우울감시야장애가 생길 수 있고, 심하면 실신으로 이어진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를 보면, 기립성 저혈압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82840명에서 202224,661명으로 최근 5년 동안 18.3% 정도 늘었다.

기립성 저혈압은 우리 몸 자율신경에 있는 압력 수용체가 기능을 제대로 못해 생긴다. 탈수가 왔을 때, 더운 곳에 오래 서 있을 때 많이 나타난다.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성 신경병증과 동반해 자율신경장애가 오면서 발생하는 사례가 많다. 만성 알코올 중독증과 파킨슨병, 다계통 위축증, 류마티스 질환이 원인일 수도 있다.

누웠을 때 별 증상이 없지만 앉았다 일어설 때 눈앞이 캄캄해지는 시야 흐림 현상과 두통과 목 뻣뻣함 증상, 전신 무력감이 느껴진다면 기립성 저혈압을 의심해야 한다.

한편 기립성 저혈압을 빈혈로 혼동하기도 한다. 기립성 저혈압은 누웠을 때는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일어섰을 때는 혈압 차이로 뇌 혈류가 일시 감소하면서 어지럼증을 느낀다. 이에 비해 빈혈은 일어섰을 때 더 심한 피로감과 어지럼증을 호소하지만 누웠거나 앉아 있을 때도 같은 증상이 지속한다.

기립성 저혈압 검사 방법에는 누운 상태에서 천천히 몸을 일으켜 누웠을 때 혈압과 앉거나 섰을 때 혈압을 비교하는 기립경 검사가 있다. 검사 5분 내 수축기 혈압 20mmHg, 이완기 혈압10 mmHg 이상 떨어지면 기립성 저혈압으로 진단한다.

증상이 있어도 기립성 저혈압을 바로 전부 치료하지 않는다. 원인 검사로 유발 원인을 찾아 적절한 치료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부작용이 생기는 약물을 조정하거나 수액 공급과 저혈압 방지 약물을 투여하기도 한다.

기립성 저혈압 예방을 위해 평소 충분한 물 섭취로 혈류량을 유지하고, 하체 운동을 꾸준히 해 주는 것이 좋다. 사우나와 음주과로는 좋지 않다. 동작 교정도 필요하다. 갑작스럽게 일어나지 않고, 앉아 있거나 누워 있는 상태에서 천천히 기지개를 켜고 일어나는 습관이 좋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신경과 류창환 전문의는 다리 혈액 순환을 돕기 위해 압박 스티킹 착용도 권유한다다리를 폈다 굽혔다 반복하며 자극을 주거나 뒤꿈치를 들어 장딴지에 힘을 주는 것도 하체 자극으로 혈류를 활성화해 원활한 자율신경을 유지하는 좋은 운동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