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 민감군’ 심하면 천식‧기관지염 악화…오존주의보 챙겨야
대기 중 ‘오존’은 해로운 자외선을 흡수해 지표까지 도달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표면과 가까운 대류권에서는 우리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오존에 반복 노출되면 우선 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기침과 메스꺼움, 가슴 통증을 일으키고, 심하면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 심장질환, 기관지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노약자와 영유아‧어린이, 호흡기질환자, 심장질환자, 임산부는 ‘오존 민감군’으로 더 주의해야 한다.
질병관리청 ‘제1차 기후보건영향평가 보고서’를 보면, 오존 연평균 농도는 2010년 35.8ppb에서 2019년 45.0ppb로 증가했다. 단기 오존 노출에 따른 초과 사망자는 2010년 1,248명에서 2019년 2,890명으로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이 여름으로 갈수록 강한 햇빛과 약한 풍속이 각종 대기오염물질과 광화학 반응해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는 만큼 오존에 노출되지 않도록 예방법을 알고 실천해야 한다. 현재 고농도 오존 발생상황을 사전에 알리는 오존예보제가 시행되고 있다. 외출 전 오존 농도를 확인하는 습관도 바람직하다.
오존 예보등급 보통(0.031~0.090)이면 특별한 제약은 없다. 하지만, 노약자‧어린이‧임산부 등 민감군은 컨디션에 따라 주의해서 일상생활을 하는 게 좋다. 나쁨(0.091~0.150)에는 장시간 실외활동을 삼가고, 눈이 아프다면 실외활동을 피하도록 한다.
이때 민감군은 실외활동을 제한하고, 불가피하게 외출해야 한다면 일사량이 높은 14시~17시간대는 피하도록 한다. 매우 나쁨(0.151이상)에서는 모두 실외활동을 삼가며 실내활동을 하도록 한다.
또 오존 농도가 높을 때는 승용차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더운 시간대 주유하거나 드라이클리닝, 페인트칠, 스프레이 사용을 삼가야 한다.
대동병원 종합건강검진센터 김윤미(가정의학과 전문의) 과장은 “기후변화는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많은데 미세먼지에 비해 오존에 대한 관심은 적은 것 같다”며 “오존 역시 우리 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미세먼지와 달리 마스크를 착용해도 차단되지 않는 만큼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음료수‧아이스크림 더 많이 찾는 여름철…아이들 ‘치아’도 비상
- 앉았다가 일어서면 핑 도는 어지럼증 단순 ‘빈혈’ 아니라…“이것”
- 파킨슨병 환자, 뇌심부자극술 뒤 응급실 찾은 이유 확인…34%, 기계 탓
- 1군 발암물질 '니켈' 농도, 한국인에 높게 나와…"노출 기준치 마련 필요”
- "당뇨 환자에게 저체중 위험해"…저체중 지속될수록 심부전 위험 치솟아
- 단일공 로봇 자궁절제술에 새 기록…역대 가장 비만한 환자 치료 성공
- 서울아산병원 교수 "민주당, '강 건너 불구경' 멈추고 醫-政 중재를"
- 로슈, 유방암치료제 차기 주자로 美 혁신치료제 지정 '이나볼리십' 낙점
- 남성 HPV 질병 부담 과소평가하는 한국…HPV 예방 인식 변화 절실
- 특발성 폐섬유증, 검증된 약물·수술·재활 치료 이외 다른 것 해선 안돼
- 췌장암‧간암도 중입자치료 시대 돌입…연세암병원, 회전형 치료기 가동
- 복부 팽만감과 아랫배 통증으로 산부인과 갔더니…‘난소암 3기’ 날벼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