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골감소증으로 골절되면 삶의 질 급격히 떨어져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은 대표 ‘골대사질환’이다. 골소실이 진행되면 골량은 점차 줄고, 골질 약화로 골강도가 약해져 골절에 취약해진다. 이때 작은 충격에도 골절된다. 골절되면 삶의 질이 급격히 떨어진다. 여러 합병증도 생겨 사망에까지 이른다. 골대사질환은 증상이 없어도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만성 질환이다.
골대사질환은 인구구조가 변화하면서 유병률이 상승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로 접어들고 있어 골다공증 유병률은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대한골대사학회가 지난해 발표한 연구 자료를 보면, 국내 50세 이상 골다공증 유병률은 여성에서 37.3%, 남성에서 7.5% 정도다. 골감소증은 여성에서 48.9%, 남성에서 46.8%다. 연령이 높아지면 골다공증 환자 비율은 더 증가한다.
골밀도가 낮아지는 주요 원인은 폐경과 노화다. 뼈는 사춘기에 90% 형성, 골량은 30대 초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 골량이 서서히 줄어든다. 여성은 폐경이 큰 영향을 준다. 서서히 줄던 골량은 폐경 후 급격히 줄어든다. 골밀도를 유지해주던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감소, 골밀도 유지 기능을 소실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내분비 호르몬 질환이나 만성 기저질환, 약물로 생긴 이차성 골다공증도 영향을 미친다.
골대사질환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건강검진에서 골밀도 검사를 통해 발견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처음 자각 증상은 골절일 수 있다. 낮은 골밀도로 인한 골절이 나타날 정도면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다.
초기 증상은 대부분 없다. 하지만 척추뼈가 약해져 중력에 눌리면, 키가 작아지거나 척추가 휘는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심하면 골절이 생긴다. 50~60대는 주로 손목과 발목 골절이 많다. 70대 이상은 고관절과 척추 골절이 주로 나타난다.
고령에서 골다공증 골절이 생기면 여러 질환이 동반한 상태에서 회복 기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다. 긴 회복기간 동안 거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전체적인 신체 기능과 건강 상태가 악화하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 실제 고관절 골절 1년 내 사망은 16.6%에 이른다. 남자의 경우 21.5%에 달할 정도로 심각한 영향을 준다.
골다공증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칼슘‧비타민D 보충제 복용, 적절한 단백질 섭취 등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한 식습관이 중요하다. 과도한 음주와 카페인 섭취 제한도 중요하다. 골절 예방을 위해 자신의 몸 상태에 맞는 근력 향상을 위한 운동요법과 낙상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골다공증을 진단받은 경우 골다공증을 일으키는 원인질환이 있다면 그 질환을 우선 치료해야 한다. 원인 질환이 없다면 골절 위험도 평가와 각 골다공증 약제 특성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고, 개별화해 골다공증 약물 치료를 한다.
고려대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경진 교수는 “당장 증상이 없어도 정기 건강검진을 통해 자신의 골밀도를 미리 확인하고, 조기에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평소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골대사질환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골밀도 검사결과와 여러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평가, 골절 위험도를 진단하고 정확히 처방할 수 있는 골대사 전문의와 상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올여름 해외여행 계획에 뎅기열‧말라리아‧황열병 대책도 세워야
- “말단비대증 치료, 환자 삶의 질 우선 고려해야”
- CSL베링코리아 B형 혈우병 치료제 ‘아이델비온’, 건강보험 급여 적용
- "2,000명 증원 내가 결정" 조규홍 장관 '직권남용' 고소당해
- 반려동물 1500만 시대…애완동물에 의한 알레르기 질환도 증가세
- 두경부암·갑상선암에 경구강 로봇수술, 연하·발성 기능 보존 효과
- 암 전문가 10명 중 9명 “암 환자 NGS 검사 본인부담률 상향 반대”
- 다발골수종 새 치료 옵션 추가…이중특이항체 신약 ‘탈베이' 국내 허가
- 냉각모자, 암환자 탈모 고민 해결사로 등판…신의료기술 등록 진행 중
- ‘파센라’, 이달부터 중증 호산구성 천식 치료 유지요법에 급여 적용
- 政, ‘약제·치료재료 허가 범위 초과 사용 제도’ 손본다
- [헬스로그 명의] 3대 부인암 다발 연령 공식, 국내 난소암엔 안 맞는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