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백병원 소화기내과 김아령 교수팀
일산백병원 소화기내과 김아령 교수팀(교신저자 삼성서울병원 신동현 교수)이 75세 이상 노인이 간암 감시검사를 받았을 때 간암 진단 후 생존 기간이 2배 이상 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이 2009년부터 2021년 사이에 간암 진단을 받은 75세 이상 노인 환자 419명의 의무기록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감시검사를 받은 노인이 증상이 발생해 간암 진단을 받은 노인보다 평균 생존 기간이 2배 더 길고, 사망 위험도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감시검사를 통해 간암 진단을 받은 235명(검진 그룹)과 증상이 나타나 간암 진단을 받은 184명(증상 그룹), 두 그룹으로 나눠 생존 기간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검진 그룹에서 평균 생존 기간이 4.4년으로 증상 그룹(2.1년)보다 2배 이상 길었다. 검진 그룹이 증상 그룹보다 사망 위험도 36% 낮았다.
80세 이상의 환자만 따로 분석한 결과 역시 검진 그룹 평균 생존 기간이 3.3년으로 증상 그룹(1.8년)보다 길었다.
검진 그룹 생존율이 높은 이유는 간암의 조기 발견이 주요했다.
검진 그룹에서는 간암 초기 단계인 1~2기에서 진단된 비율이 72.3%인 반면, 증상 그룹에서는 39.1%로 약 2배가량 차이를 보였다.
김아령 교수는 “어르신들은 간암 발생의 고위험군임에도 불구하고 정기적인 간암 검진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며 “간암 조기 발견과 생존율 향상을 위해 연세가 많으신 어르신을 포함한 모든 연령에서 B형간염, C형간염, 간경화와 같은 간암 발생의 고위험군 환자들은 적극적인 정기 간암 감시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암 검진은 기대여명이 10년 이상일 때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며 “국내 2021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75세의 기대여명은 13.4년, 80세는 9.9년으로 기대여명을 고려하였을 때 간암 검진은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