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은 수영복 오래 입으면 곰팡이균에 의한 ‘질염’ 위험 커져
여름 휴가가 한창이다. 연중 모처럼 길게 가족 또는 친구들과 더위를 피해 시원한 계곡과 해수욕장, 워터파크를 찾아 물놀이를 즐긴다.
물놀이는 즐겁다. 하지만, 수질에 따라 자칫 눈병이나 피부 트러블, 부인과 질환 등 여러 증상이 찾아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물놀이 후 참을 수 없는 가려움과 함께 질 분비물 냄새‧색에 양상이 달라졌거나 분비물 양이 늘었다면 ‘질염’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여름철 물놀이 후 찾아오기 쉬운 ‘칸디다 질염’
‘여성의 감기’로 불리기도 하는 질염은 흔한 질환이다. 여름철 덥고 습한 날씨는 여성 질 내부에 비정상적으로 균을 증식시킬 위험이 커진다. 장시간 물놀이로 젖은 수영복을 오래 착용하거나 위생적이지 못한 수질 상태에 오래 노출되면 ‘칸디다 질염’에 걸리기 쉽다.
칸디다성 질염은 여성 75%가 일생 한 번은 경험하는 질염 종류다. 효모성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한다. 정상적인 질 내 환경에서는 적절한 산도로 칸디다균 증식을 억제한다. 이에 비해 덥고 습한 환경에서 균이 빠르게 증식, 질염이 생긴다.
칸디다성 질염의 주요 증상으로 평소와 다른 덩어리진 하얀 치즈 같은 질 분비물과 생식기 가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하면 소변볼 때마다 따가운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질염 흔하지만 방심은 금물
질염은 방치되면 쉽게 만성화한다. 심하면 골반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빨리 치료할수록 항생제 복용 등 비교적 쉬운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방치되면 치료 기간이 길어지고 과정 또한 복잡해지낟.
질염 치료는 원인균에 따라 다르다. 칸디다성 질염은 항진균제로 치료한다. 세균성‧트리코모나스 등 원인균에 따라 항생제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 증상에 따라 스테로이드 연고 도포와 질 소독 치료도 한다.
보통 질염 치료는 쉬운 편이다. 하지만, 재발 위험이 크고 조기에 집중 치료가 필요하다. 적절한 치료가 제때 이뤄지지 않은 채 만성화된 질염은 자궁경부염과 골반염, 임신 합병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여름철 물놀이 질염 예방을 위해 수질 상태뿐 아니라 물놀이 전후 개인 위생 습관도 중요하다. 물놀이 후에는 빨리 젖은 수영복을 탈의해 생식기를 깨끗하게 씻어주고, 물기 제거 후 완전히 마른 상태에서 속옷을 착용하는 게 좋다.
서울미즈병원 산부인과 전문의 류의남 원장은 “칸디다성 질염은 흔한 만큼 치료도 대개 쉬운 편이지만, 치료 시기를 놓치면 만성화될 수 있다”며 “치료의 때가 중요한 만큼 물놀이 후 평소와 다른 질 분비물과 가려움증이 나타나면 빨리 산부인과를 찾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전문 의료진까지 사라지는 국립대병원…상반기에만 교수 223명 사직
- “의료대란 책임자 조규홍·이주호 장관 탄핵해달라” 국민동의청원 등장
- 건강보험 진료하면 손해인 의료 현실…“원가라도 보전하라”
- 감시검사 받은 노인, 간암 진단 후 생존 기간 2배 이상 연장
- 환자 중심 개혁?…환자·소비자단체도 "누구를 위한 의료개혁인가" 분통
- "전공의 언제 오나 기도만 할 수 없어"…간호사 역할 커지나
- '전문의 중심 병원' 시험대 오른 서울대병원의 고민
- [송교영의 위암 올댓가이드] 위암수술 뒤 시중의 '면역요법' 해도 될까?
- 릴리 마운자로, 만성 체중 관리 적응증 식약처 허가 획득
- “소변이 안 나와요”…소변길 막아 극심한 옆구리 통증 일으키는 ‘이것’
- "간이식 3D 모델링 플랫폼으로 의사 부담↓의료의 질↑"
- "영양소 권장섭취량 개념·정의 문제 있다"…80여년만에 재검토 될까
- 올여름 폭염 심상치 않다…온열질환 사망자 벌써 10명
- 임산부 ‘태교’에 스릴러‧공포영화가 비추인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