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에 쏘이면 ‘아나필락시스 쇼크’ 위험
뱀에 물리면 상처 부위 꽉 묶지 말아야

추석 명절이 바짝 다가왔다. 추석에는 차례를 올리고 가족들이 함께 성묘를 간다. 올해는 이상고온과 폭염 영향으로 말벌 개체군이 급증하면서 벌써부터 벌 쏘임사고도 늘어나고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소방청 집계를 보면, 올해 들어 3일 현재까지 벌에 쏘여 목숨을 잃은 사람은 12명이었다. 2020년 이후 벌 쏘임 사고에 따른 연간 사망자는 20207, 202111, 202211, 202311명이었다. 올해는 이미 최근 4년 동안 연간 사망자보다 더 많은 사람이 벌에 쏘여 목숨을 잃은 것이다.

연중 벌 쏘임 사고가 가장 많은 달은 8~9월이다. 전체 벌 쏘임 사고의 30% 정도가 이때 일어났다. 추석을 앞두고 벌초를 하거나 성묘를 할 때 특히 주의해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벌에 쏘이면 아나필락시스 쇼크주의무조건 병원 찾아야

가을이 되면 추석을 앞두고 가족친지들과 벌초를 하거나 성묘를 위해 산을 찾는다. 이때 반드시 조심해야 할 것이 벌 쏘임이다. 벌초 과정에서 미처 벌집을 보지 못하고 건드리는 경우 순식간에 벌떼로부터 집중 공격을 받게 된다.

벌에 쏘였을 때 증상은 벌 종류와 쏘인 횟수,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말벌이 아닌 일반 벌은 보통 쏘인 부위에 통증붓기가려움 등 반응이 나타난다. 대부분 1~2일이면 증상이 사라진다.

중요한 것은 알러지 반응이다. 벌독에 알러지가 있는 사람은 일반 벌에 쏘이더라도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다. 피부가 창백해지고 땀이 나고 두드러기설사가 생기거나 호흡곤란과 혀목에 붓기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증상을 아나필락시스 쇼크라고 한다.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심하면 1시간 내 사망할 수 있다.

뱀독 퍼지지 않으려 꽉 묶으면 괴사 위험

추석 무렵 가을에는 먹이활동이 왕성한 뱀도 주의해야 한다. 뱀에 물리면 보통 알고 있는 응급처치 방법은 독이 전신에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끈이나 수건 등으로 상처 부위 주변을 묶는 것이다. 뱀에 물려 병원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은 독이 퍼지는 것을 막겠다고 상처 위와 아래 부위를 풀기 어려울 정도로 겹겹이 꽉 묶거나 심지어 케이블타이 또는 철사로 감아서 오기도 한다.

하지만, 뱀에 물린 상처 주변 부위를 너무 꽉 묶으면 혈액 순환을 오히려 방해해 심한 부종이 생길 수 있다. 압력이 강한 가는 철사나 케이블타이 등을 이용할 경우 혈액 흐름을 막아 상처 아랫부위가 괴사할 수도 있어 초기 응급처치 방법이 중요하다.

뱀에 물렸을 때는 물린 부위 5~10윗부분을 끈이나 수건을 이용해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로 여유있게 묶는다. 지혈이 목적이 아니라 동맥피는 일정량 흐르게 하면서 정맥피가 되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응급의학과 양희범 교수는 평소 자신이 벌독에 대한 알러지가 있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없는 만큼 벌에 쏘였다면 별다른 증상이 없더라도 과민성 쇼크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 꼭 병원 응급실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뱀에 물렸을 때는 미지근한 물로 닦아낸 뒤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낮게 유지한 상태로 절대 뛰지 말고, 가까운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흥분해 심장이 빨리 뛰면 독이 더 빠르게 퍼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