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병원 이창균 교수팀 연구…국제 학술지 게재
항생제 복용 유무에 따라 발병 위험 24% 증가
우리나라는 ‘항생제’ 사용률이 여전히 높은 대표 국가로 손에 꼽히고 있는 가운데 항생제가 희귀난치 염증성 장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이창균‧김효종·오신주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이용해 2004~2018년까지 국내 염증성 장질환 환자 6만8,633명과 대조군 34만3,165명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연구팀 분석 결과, 염증성 장질환을 진단받기 2~5년 전 항생제 복용 유무에 따라 염증성 장질환 발병 위험은 24% 가량 증가했다. 또 진단 전 최장 9년 전까지 항생제 복용 경험이 염증성 장질환 발병 위험 증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복용량이 증가할수록 발병 위험도 늘었다.
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이창균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항생제 오남용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무분별 사용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한 것을 보여주고, 항생제 과다 사용이 원인불명 희귀 난치질환인 염증성 장질환을 유발하는 환경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연구로”라며 “염증성 장질환이 급증하고 있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진행된 대규모 인구기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의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한국인 대상:항생제 사용과 염증성 장질환 발병 위험 간의 관계 연구’를 제목으로 국제소화기학회지인 '소화기 약리학 및 치료학(Aliment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5월호에 실렸다.
관련기사
- 유전성희귀신장질환 '알포트증후군', 신장 망가지는 나이 차 남녀 2배
- ‘고용량 비타민D 요법’ 골절·낙상 예방 효과 없어
- 정밀의료로 암치료 성과 높이려면?…오프라벨 맞춤약 급여시스템을
- 국내 의료진, 중증 급성췌장염에 '줄기세포치료제 효과' 세계 첫 입증
- 괌에서 태어난 ‘재태주수 28주 미숙아’ 국내 이송 성공
- 전립선암치료제 '플루빅토', 국내 6호 신속심사 대상의약품 지정
- 암·심장·내분비 분야 아태 지역 최고 병원 '서울아산병원'
- NGS 유전자검사, 선별급여 개정 앞두고 '보장성 후퇴설' 솔솔
- 알츠하이머치매 억제 물질, 국내 의료진이 찾았다
이창호 기자
retour70@gmail.com

